암info 729

[비타민B5]판토텐산 정맥 수액치료_효능_유의점

고용량의 판토텐산(비타민 B5)을 정맥수액주사로 사용할 경우 다양한 효능이 있습니다. 주로, 이러한 치료는 만성 피로, 섬유근육통, 편두통과 같은 만성 질환의 증상 완화에 사용될 수 있으며, 회복을 촉진하고 전반적인 웰빙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 판토텐산은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코엔자임q10의 전구물질로 알려져있으며, 특히 에너지 생산, 지질 대사,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에 필수적인 공동효소 A의 생성에 중요합니다. ​ 그러나 비타민 B5의 결핍은 드물며, 특정 질병을 목표로 하는 것 외에는 고용량 보충의 명확한 임상적 이점이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 ​ 고용량 판토텐산 사용시 잠재적 부작용으로는 소화불량이나 경미한 설사가 있을 수 있으며, 매우 높은 용량(일일 10그램 이상)에서 ..

암info 2024.05.08

[전립선암]예후 예측_글리슨(Gleason) 전립샘암 등급체계

전립선암을 진단할 때 사용되는 글리슨 등급(Gleason grade)은 암세포의 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등급은 전립선 조직의 생검 샘플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결정되며, 암세포가 얼마나 정상적인 전립선 조직과 다른지를 나타냅니다. ​ 글리슨 등급은 1부터 5까지의 숫자로 표현되며, 숫자가 낮을수록 암세포의 모양이 정상 세포와 비슷하고, 숫자가 높을수록 암세포의 모양이 불규칙하여 악성도가 높음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두 가지 패턴에 대해 각각 글리슨 점수를 부여하고, 이 두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글리슨 점수(Gleason score)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가장 흔한 패턴이 글리슨 3이고 두 번째로 흔한 패턴이 글리슨 4라면, ..

암info 2024.05.08

[비타민B1]티아민 정맥 주사 치료_적응증_유의점

일일 권장 섭취량: 비타민 B1 (티아민)성인의 경우, 남성은 하루에 1.2mg, 여성은 1.1mg의 티아민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연령에 따라 0.5mg에서 1.2mg까지 다양하며, 영유아는 하루 0.2mg에서 0.3mg이 필요합니다. ​ [고용량 티아민 정맥 주사 치료의 효과] ​ 고용량 티아민 정맥 주사는 특정 건강 문제에서 중요한 치료법으로 사용됩니다. ​ 예를 들어, '베리베리'나 '베르니케 뇌병증'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고용량의 티아민이 주입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주사를 통해 하루 100mg의 티아민이 처음 몇 리터의 정맥 수액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일일 50mg에서 100mg 사이로 계속 투여됩니다. ​ 그 외에도 본태성 떨림(e..

암info 2024.05.08

[항산화_항암부작용 관리]글루타치온 정맥주사_ 고용량 비타민c 정맥주사

글루타치온과 고용량 비타민 C를 정맥주사로 함께 사용하면 여러 건강상의 이점이 있습니다. ​ 특히, 각 성분의 항산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글루타치온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몸의 해독을 돕고, 면역 기능을 지원하며,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을 줄여주어 노화 방지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비타민 C 역시 강력한 항산화제로, 면역 기능과 콜라겐 합성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글루타치온을 포함한 다른 항산화제를 재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이 두 성분이 함께 사용될 때, 서로의 항산화 효과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C는 글루타치온이 더 효과적인 자유 라디칼 소거제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환원형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비타민 C가 백혈구 및 적혈구 내 글루타치온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어 세포 건강과..

암info 2024.05.08

[비타민B12] 시아노코발라민 정맥주사_효과_유의점

비타민 B12 정맥주사는 특정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으나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주사는 비타민 B12 결핍이 심각하거나 B12를 소화관을 통해 흡수하기 어려운 경우에 종종 사용됩니다. 특히 만성 위염, 위암에 의한 위 전절제술 시행 환자, 장 수술 후 환자, 채식주의자, 노인 등에서 여러 만성질환 상태에서 B12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1. 효과신속한 결핍 교정: 정맥 주사는 체내 B12 수준을 빠르게 높여 결핍 증상을 신속하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 2. 신경 손상 회복 지원: 심각한 B12 결핍이 있는 경우, 신경 손상과 관련된 증상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3. 헤모글로빈 수준 정상화: B12는 적혈구 생성에 필수적이므로, 이를 통해 빈혈을 교정하고 헤모글로빈..

암info 2024.05.08

[표적항암제 부작용]올라파립(린판자) 장기사용시 유의해야 할 부작용들

올라파립(Olaparib)은 BRCA 변이가 있는 진행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표적항암제로, PARP 억제제의 한 종류입니다. 장기 복용 시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혈액학적 부작용: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포함됩니다. 이는 혈액 세포의 생성을 방해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위장관 증상: 메스꺼움, 구토, 설사, 식욕 부진과 같은 증상이 자주 보고됩니다. 3. 피로감: 많은 환자들이 치료 기간 동안 지속적인 피로를 느낄 수 있습니다. 4. 호흡기 문제: 호흡곤란 또는 기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간 기능 이상: 간 효소 상승이 관찰될 수 있으며 이는 간 손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부작용의 정도와 발생 빈도는 환자의 개..

암info 2024.05.08

[유방암_표적치료]키스칼리(kisqali)_치료 반응 하지 않는 경우 가능한 다른 치료 옵션_2024 NCCN guideline

HR-양성, HER2-음성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가 CDK4/6 억제제 키스칼리(Kisqali, ribociclib) 초기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 NCCN 가이드라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치료 옵션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CDK4/6 억제제 사용 후 진행 시 치료 옵션: ​ ​ [내분비 치료 단독] 아로마타제 억제제 또는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와 함께 CDK4/6 억제제 사용 후 진행된 환자의 경우, 다른 내분비 치료제로 전환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로마타제 억제제에서 풀베스트란트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 [화학 요법] 내분비 치료 옵션이 소진되었거나 적합하지 않은 경우 화학 요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는 케이프사이타빈..

암info 2024.04.30

[표적항암제info]카보잔티닙(cabozantinib)_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카보잔티닙 (Cabozantinib)_티로신키나제 억제제 ​ [적응증] ​ 카보잔티닙은 여러 종류의 암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용 표적 치료제입니다. 이 약물은 주로 다음과 같은 암 치료에 적응증을 갖고 있습니다: 전이성 신세포암 (mRCC,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2016년 FDA는 이전에 치료 받은 전이성 신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카보잔티닙의 사용을 승인했습니다. 특히, 다른 약물 치료 후 질환이 진행된 경우에 사용됩니다. 간세포암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카보잔티닙은 2019년에 전이성 또는 수술 불가능한 간세포암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는 이전에 소라페닙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갑상선암..

암info 2024.04.30

[갑상선암]렌비마_ 치료 후 진행될 경우 가능한 치료 옵션info_2024NCCN guideline

2024년 NCCN 갑상선암 가이드라인은 갑상선암 환자에서 렌비마(렌바티닙, Lenvima) 사용과 렌바티닙이 효과가 없을 때의 후속 화학요법 옵션에 대한 구체적인 권장사항을 제공합니다.렌바티닙 사용 적응증 및 사용 기간 렌바티닙은 방사성 요오드(RAI)에 내성을 보이는 분화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권장됩니다. 진행성 및/또는 증상이 있는 질환에 대해 우선적인 전신 요법으로 지정됩니다. ​ 렌바티닙 실패 후 옵션 렌바티닙이 효과가 없을 경우, NCCN 가이드라인은 여러 옵션을 권장합니다: ​ 1. **카보잔티닙(카보잔티닙, Cabozantinib)**은 렌바티닙 및/또는 소라페닙으로 치료 후 질환이 진행된 경우 권장됩니다. 이는 카테고리 1 권장사항으로 분류됩니다. ​ ​ 2. [기타 표적 치료제는 특..

암info 2024.04.30

[유방암_호르몬 치료]풀베스트(fulvestrant)주사치료:에스트로겐 호르몬 억제치료

풀베스트 주사(Fulvestrant)는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호르몬 요법의 일종입니다. 풀베스트 주사는 특히 호르몬 수용체 양성, HER2 음성 유방암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제로, 종종 PIK3CA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에게 피크레이정과 함께 처방됩니다.[풀베스트 주사 (Fulvestrant) 치료 방법] ​ 풀베스트 주사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길항제로서 작용합니다. 에스트로겐이 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환자에서, 이 약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그 활성을 차단하고, 수용체의 분해를 촉진하여 호르몬의 효과를 억제합니다. ​ 투여 방법: 풀베스트는 주로 근육 내 주사로 투여됩니다. 투약 초기에는 한 달에 두 번 500mg을 처음 15일 간격으로 투여하고, 이후에는 매달 한 번씩 투여합니다...

암info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