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암]임상진료에서 4기암과 말기암의 차이점

암에 대한 병기는 의학적으로 무척 다양하게 있지만 의료현장에서 환자분들에게 설명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암 1기, 2기, 3기, 4기는 담당 임상의사에 따라 약간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병원에서 이야기하는  암 4기는 암이 원래 발생한 부위를 넘어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를 말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종양의 크기가 크고, 암세포가 림프계를 통해 또는 혈액을 통해 몸의 다른 부위로 퍼져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암 4기는 치료가 어려워졌지만, 치료할 수 있는 옵션이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반면에...​말기암은 의학적으로 환자가 수개월 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를 말하며, 완치나 생명 연장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가 어려운 상태로 치료보..

암info 2024.04.29

[식도암]전이성 식도암_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면역항암제_키트루다,옵디보,테빔브라

전이성 식도암 치료 분야에 국내에서 승인된 면역항암제 사용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1.키트루다 (펨브롤리주맙):​2023년 3월, 키트루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수술 불가능한 전이성 식도암 1차 치료 적응증을 획득했습니다.​임상3상 KEYNOTE-590 연구에서 키트루다+항암화학요법 조합이 항암화학 단독요법 대비 전체생존(OS)과 무진행생존(PFS) 모두에서 우월한 효과를 보였습니다.​2.옵디보 (니볼루맙):​2023년 3월, 옵디보는 식도암 1차 치료 적응증을 획득하였으며, 이는 치료 경험이 없는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재발성 전이성 식도편평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입니다.​임상3상 CheckMate-648 연구를 통해 옵디보+항암화학요법 및 여보이와의 병용요법이 항암화학 단독요법에 비해 ..

암info 2024.04.29

[간암]경구 항암제_소라페닙(넥사바)_레고라페닙(스티바가) 적응증_임상적 사용 차이점

소라페닙(Sorafenib)과 레고라페닙(Regorafenib)은 모두 간암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 항암제입니다. 이 두 약물은 비슷한 기전을 가지고 있지만, 사용되는 적응증과 치료 단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1.소라페닙 (Sorafenib)​상품명: Nexavar​적응증: 소라페닙은 간세포암(흔히 HCC라 불림) 환자의 일차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이 약은 주로 수술이나 간 이식이 불가능한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작용 기전: 소라페닙은 다중 키나제 억제제로서, 종양 세포의 성장과 혈관 신생을 억제하여 암의 성장을 막습니다.​2.레고라페닙 (Regorafenib)​상품명: Stivarga​적응증: 레고라페닙은 소라페닙에 불응하는 간세포암 환자의 2차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즉, 소라페닙 치료 후 ..

암info 2024.04.29

[Q&A]간이식 적응증_ 간이식 방법_종류_기증자 요건

간이식은 간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된 환자에게 새로운 간을 이식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대략적인 적응증과 방법, 기증자의 요건등은 아래와 같습니다.1. 간이식 적응증​간이식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요할 수 있습니다:​만성 간 질환으로 인한 간경변​급성 간부전​간암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유전적 간 질환​이들 중에서 간경변은 간이식을 받는 가장 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간경변 환자에서는 간 조직이 섬유화되고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 간 기능이 완전히 상실될 수 있습니다.​2. 간이식 방법​간이식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카다베릭 간이식: 사망한 기증자의 간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생체 간이식: 살아있는 기증자가 간의 일부를 기증하고, 이를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입니다.​3. 간이식 종류​전체 ..

암info 2024.04.29

[간암]간 세포암 환자에게 간 이식을 치료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는 주요 조건

간암(간세포암) 환자에게 간 이식이 치료방법으로 적합한지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조건들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1.암의 진행 정도: 간 이식은 일반적으로 초기 단계의 간암 환자에게 권장됩니다. 특히, 밀라노 기준(Milano criteria)에 따라, 최대 5cm 크기의 단일 종양이나 3cm 이하 크기의 3개 이하 종양을 가진 환자들이 이식을 받을 수 있습니다.​2 간 기능: 환자의 간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있고, 이식 없이는 생존이 어려운 경우에 간 이식이 고려됩니다. 만성 간질환 또는 간경변이 있는 경우, 간 이식은 더욱 필요할 수 있습니다.​3.건강 상태: 환자는 간 이식 수술과 회복 과정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양호해야 합니다. 심각한 심혈관 질환, 감염, 다른..

암info 2024.04.29

[간암]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_간이식 적응증_밀라노기준_UCSF기준

간이식은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 환자의 치료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식 적응증을 판단할 때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기준은 밀라노 기준과 UCSF(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기준입니다. 이 두 기준은 간이식 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확률이 높은 환자를 선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1.밀라노 기준 (Milan Criteria)​밀라노 기준에 따르면, 간이식의 적합한 후보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단일 종양의 경우, 최대 지름이 5cm 이하​두 개 이상의 종양인 경우, 종양의 개수가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크기가 3cm 이하​이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들은 간이식 후 5년 생존율이 약 75%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2.UCSF 기준​UCSF..

암info 2024.04.29

[간암]간암 각 병기별 일반적인 치료방침_BCLC병기분류체계

간암 환자를 위한 바르셀로나 클리닉 간암 스테이징 시스템(BCLC)은 간암의 진단, 스테이징 및 치료 계획을 제공하는 데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체계입니다. BCLC 스테이징 시스템은 환자의 암의 단계, 간 기능, 암의 증상, 암의 크기와 수, 혈관 침범 여부, 전이 여부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합니다. 다음은 각 스테이지별 간략한 일반적인 권장 치료 방침입니다:

암info 2024.04.29

수목요양병원_안내_6층 암&면역치료센터_진료환경_동영상

수목요양병원은 부천역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암 요양병원입니다. ​ 암을 진단 받으시고 여러 힘든 과정에 있는 모든 환자분들을 세심히 진료하고 있습니다. ​ 실제 병원 6층 전체 내부 모습 동영상 입니다. 다소 정돈 되지 않은 시설 모습도 있습니다. 저희 병원의 일상적인 진료 모습 등을 최대한 가감없이 영상에 담아 봤습니다. ​ 최근 7층 일부 리모델링도 완료되어 더욱 편안하고 쾌적한 시설로 환자분들께서 내 집 보다 더 편하게 느끼실 수 있도록 노력 하고 있습니다. ​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

암info 2024.04.23

[간암]간암에 많이 사용되는 두가지 병기분류방법

간암에 대한 병기 분류는 OKUDA, CLIP, CUPI, JIS등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체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 바르셀로나 클리닉 간암 스테이징 시스템(BCLC: Barcelona Clinic Liver Cancer Staging System)과 TNM 시스템입니다.바르셀로나 클리닉 간암 스테이징 시스템 (BCLC): ​ BCLC 시스템은 간암의 진단, 병기 분류 및 치료 전략을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이 시스템은 종양의 크기, 수, 간 기능, 환자의 일반적인 건강 상태 및 증상의 유무를 고려하여 간암을 0단계부터 D단계까지 분류합니다: ​ 0단계: 매우 초기 단계(간 기능이 양호하고, 작은 종양이 한 개 있으며 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 ​ A..

암info 2024.04.22

[간암]간암 고위험군과 권장되는 조기진단 검사방법들

간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미국의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간암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은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조기에 간암을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권고합니다.[간암 고위험군에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포함됩니다] 1.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2. 간경변증을 진단받은 사람 3. 가족력이나 기타 위험 요소를 가진 사람 ​ [조기 진단을 위한 권장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복부 초음파 검사: 간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비정상적인 변화나 종양을 찾습니다. 2. 혈청 종양표지자 검사: 특히 알파태아단백(AFP) 수치를 측정하여 간암의 가..

암info 202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