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논문info]수용성 비타민 B3_니코틴산아미드_고용량치료_항암보조효과_최신연구결과발표2024년

[비타민B3의 항암보조 효과 연구 결과] ​ 연구 개요: ​ 연구기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배석철 교수 연구팀 ​ 연구 발표: 2024년 5월 2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 연구 대상: 4기 폐암환자 110명(여성 70명, 비흡연자 84명) ​ 연구 주요 내용: ​ 목적: 비타민B3가 암 억제 유전자 'RUNX3'를 재활성화해 암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지 확인 ​ 방법: 표적항암제(제피티닙 또는 엘로티닙)와 비타민B3(Nicotinamide) 병용 투여 ​ 결과: ​ 비타민B3를 복용한 경우, 생존 기간이 평균 13.3개월 연장됨. ​ 여성 폐암환자의 경우, 중앙 생존 기간이 약 43.4개월로 증가(단독 항암제 투여시 30.1개월). ​ 비흡연 폐암환자의 생존 기간도 1년 이상 연장됨...

암info 2024.05.26

[혈액암]동종조혈모세포 이식 이후 식사조리지침 12가지

동종조혈모세포 이식 후 무균실에서 퇴원한 환자를 위한 일반적인 식사지침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고기/생선 및 두부: ​ 고기와 생선은 속까지 완전히 익혀 먹습니다. 선홍색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합니다. ​ 계란도 완숙하여 먹습니다. ​ 두부는 불에 익혀 먹습니다. ​ 2. 해산물: ​ 전복, 대게, 오징어, 새우 등 깨끗한 바다에서 채취한 해산물은 익혀서 먹습니다. ​ 갯벌에서 채취한 게, 조개, 낙지, 굴, 미꾸라지 등은 완전히 익혔더라도 먹지 않습니다. ​ 3 건조식품: ​ 쥐포, 오징어포, 과일말린 것, 견과류 등은 곰팡이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익혀도 가급적 먹지 않습니다. ​ 북어채, 멸치, 새우 등은 팔팔 끓여서 국물로 먹을 수 있습니다. ​ 4. 유제품: ​ 생우유 대신 멸균우유를 마시고,..

암info 2024.05.20

면역저하자에게 위험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 종류 6가지 info

최근 여러 연구 언급된 면역력 저하자에게 감염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종류와 그 안전성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Saccharomyces boulardii 유럽의약품청(EMA)에서 면역결핍 혹은 결핍이 예상되는 환자에게 균혈증, 폐혈증 사례가 발생하여, 위험이 높아, 주의를 권고하였습니다. ​ ​ 2. Lactobacillus - 이 속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여겨지지만, 면역 저하 환자에게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특히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등이 언급되었습니다. ​ 3. Leuconostoc - ..

암info 2024.05.20

[논문리뷰]프로바이틱스_유산균을 면역력 저하된 암환자에게 조심히 사용해야 되는 근거에 대한 리뷰 논문

이 요약은 2008년 4월 1일에 출판된 "Nutrition Reviews" 저널의 민체 리옹에 의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안전성: 전위 및 감염"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바탕으로 정리되었습니다. 1. 논문의 주요 내용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 제품)는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받아, 많은 제품이 GRAS(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됨) 지위를 부여받았습니다.그러나, 프로바이오틱스가 전위(건강한 사람의 장에서 다른 부위로의 박테리아 이동)와 관련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지적되었으며, 특히 면역 저하 환자에서 이로 인한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 몇몇 연구와 논문에 의하면...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예: Lactobacillus, Leuconostoc, Pediococcus, Enteroc..

암info 2024.05.20

[혈액검사]알카리성 포스파타아제,ALP(alkaline phosphatase)증가 수치와 다양한 암에서 예후와의 관련성_논문 리뷰

일반적인 혈액검사에 포함되는 알칼리성 포스파타아제 (ALP:alkaline phosphatase) 수치의 증가는 다양한 연구에서 악성 종양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췌장암에서 생존기간 동안의 혈청 ALP 수치 상승은 특히 절제된 초기 환자의 전체 생존율 감소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골육종에서도 화학요법 전 혈청 ALP 수치의 상승은 국소 재발률 증가, 원격 전이율 및 환자 생존율 저하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또한 간세포 암종에서는 수술 전후 ALP 수치의 상승이 간 절제술 후 종양 재발의 독립적인 요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Dynamic serum alkaline phosphatase is an indicator of overall survival in pancreatic cancer Yuan..

암info 2024.05.20

[암info]암환자, 면역결핍 환자등에서 복용이 금기되는 국내 유통 유산균 제품 4종류info

유럽의약품청(EMA)은 사이로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프로바이오틱스의 사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환자 그룹에서 주의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면역이 결핍된 환자들(예: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 장기 이식 후 환자, 그리고 중환자들입니다. 이러한 환자들에게는 균혈증과 패혈증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환자들에게서 심각한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 이에 따른 검색/정리할 수 있는, 국내에 유통되는 유산균제품 중에서 암환자등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금기되는 주요 유산균 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 1. 비오플250 캡슐(비급여) 제조회사: 건일제약 함유 균주: Saccharomyces boulardii 중심정맥 카테터를 사용 중..

암info 2024.05.20

[혈액검사]단핵구(monocytes)증가 소견과 암 예후와 관련성_논문 리뷰

단핵구 수치의 상승은 다양한 악성 종양에서 지속적으로 암 예후와 관련이 있습니다.췌관 선암종 (PDAC), 전립선암, 고형 종양, 위암, 폐 선암종 또는 편평세포 암종에 대한 연구에서 단핵구 수의 증가가 공격적인 종양 성장, 전이, 그리고 생존율 감소.특히, 높은 단핵구 수치는 진행성 질환 단계, 무진행 생존율 단축, 낮은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단핵구는 잠재적인 예후 바이오마커로 제안되어 왔으며, 이는 암 예후에서의 단핵구의 역할과 치료 표적으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한 대규모 연구가 추가로 필요함을 나타냅니다.이러한 발견은 다양한 유형의 암에서 단핵구 수치 상승과 불리한 결과 사이의 중요한 관계를 잘 보여줍니다.

암info 2024.05.20

[혈액검사]젖산 탈수소 효소(LDH,lactate dehydrogenase)증가 소견과 암 예후와 관련성_논문리뷰

젖산 탈수소효소 (LDH) 수치의 증가는 다양한 암에서 상당한 예후에 영향을 미칩니다.흑색종에서 높은 LDH 활성은 결과가 좋지 않아 주요 발암 경로에 영향을 미치고 면역 요법에 대한 반응 및 전체 생존율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제한된 단계의 소세포 폐암 (LS-SCLC) 에서도 치료 중 LDH가 상승하면 두개 내 무진행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예측되어 결과가 좋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간 전이에 대한 치료 목적 수술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LDH 수치는 강력한 독립 예후 인자로 작용하며, LDH 수치가 높을수록 전체 생존율이 저하되고 5년 생존율이 낮아집니다. 이러한 발견은 암에서 예후 바이오마커로서 LDH가 다양한 암 유형에 걸쳐 치료 결과와 환자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잘..

암info 2024.05.11

[유방암]임신 가능한 젊은 유방암 환자_난자동결_일반적인 과정, 비용, 유의사항

유방암 진단을 받은 젊은 여성에게 난자 동결은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난자 동결은 유방암 치료와 호르몬 영향으로부터 가임력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래의 임신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난자 동결의 의미와 필요성] ​ 의미: 난자 동결은 여성이 여러 의료적 상황이나 치료로 인해 자연적인 생식 능력이 손상될 위험이 있을 때, 건강한 난자를 미리 채취하여 얼려 보관하는 과정입니다. 이렇게 보관된 난자는 나중에 사용할 수 있으며, 유방암 치료 후에도 원활한 임신이 가능하게 합니다. ​ 필요성: 유방암 치료 중 사용되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는 임신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호르몬의 영향이 강하기 때문에, 치료가 가임력에 미치는 영향이 ..

암info 2024.05.11

[혈액검사] 페리틴(ferritin)증가 수치와 암 예후 관련성_논문리뷰

혈청 페리틴(ferritin) 수치는 다양한 암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진단 및 예후 지표로서의 잠재력을 나타냅니다.연구에 따르면 페리틴 수치의 상승은 암 발병률, 유방암 환자의 불량한 예후, 유방암의 전이와 관련이 있습니다.또한 연구에 따르면 페리틴 수치는 건강한 사람에 비해 암 환자, 특히 두경부, 폐암, 췌장암, 신세포 암종에서 더 높습니다.페리틴이 철 대사에 미치는 역할과 백혈병 및 기타 암에서의 조절 장애는 질병 진행과 환자 결과에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발견은 암 진단, 예후 및 치료 전략에서 혈청 페리틴 수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 Prognostic and diagnostic roles of serum ferritin level in canc..

암info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