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재발된 위암의 분류 및 최신치료지침_NCCN guideline

재발된 위암은 주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 1. 재발 부위: 국소 재발(원래 종양 부위 인근), 원격 재발(다른 기관으로 전이), 복막 재발(복막 내 재발). 2. 재발 시기: 수술 후 빠르게 재발하는 경우, 수년 후 재발하는 경우. 3. 병리학적 특성: HER2 상태, MSI(마이크로위성 불안정성) 상태, PD-L1 발현 수준 등. ​ ​ NCCN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재발된 위암의 일반적인 치료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항암화학요법] 1. 화학요법: 기존의 화학요법 외에도 플루오로피리미딘 및 플라티눔 기반의 화학요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 2. 표적 치료: HER2 양성 위암의 경우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과 같은 HER2 타겟 약물이 사용됩니다. ​ 3. 면역 치료: PD..

암info 2024.06.22

재발된 자궁내막암 최신 치료 지침_NCCN guideline

NCCN(미국국립종합암네트워크) 가이드라인에 따른 재발성 자궁내막암의 분류 및 치료에 대한 요약을 아래와 같이 제공합니다. ​ [분류 및 병기 설정] ​ 재발성 자궁내막암은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 1. 재발된 부위에 따른 분류: 국소 재발(질에 국한, 골반에 국한), 원격전이 ​ 2.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분류: 자궁내막암은 조직학적 유형에 따라 내분비형, 장액형, 명세포형, 육종형(혼합 뮐러리안 종양 포함), 미분화형/역형성을 포함합니다. 고위험 조직형(예: 장액형, 명세포형)은 더욱 공격적이며 다른 치료 프로토콜을 요구합니다. ​ 3. 분자 아형에 따른 분류: 최근에는 분자적 분류(예: POLE 초돌연변이, 고빈도 마이크로위성 불안정성[MSI-H], 저복사수 변이, 고복사수 변이)가 ..

암info 2024.06.22

[암info]쎄레콕시브(COX-2 inhibitor)소염진통제의 항암_암예방 효과_reivew 논문

셀레콕시브와 같은 COX-2 억제제는 다양한 연구에서 항암 효과와 암 예방 효과를 입증했습니다.이러한 억제제는 COX-2 억제를 통해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을 억제하여 종양 세포 증식 감소, 혈관 신생 억제, 세포 사멸 증가, 대장암 발병률 감소를 초래합니다. 특히 유방암의 진행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 연구결과로 발표되었으며, COX-2 억제 특성을 가진 천연 화합물은 암 화학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작용이 적은 기존 항염증제보다 안전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셀레콕시브와 같은 선택적 COX-2 억제제를 사용한 연구에서는 결장암 발병률과 다발성을 감소시켜 대장암을 관리 가능한 만성 질환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 COX-2 약리학적 억제와 COX-1 및 i..

암info 2024.06.22

[항암부작용info]5-FU/메토트렉세이트 독성의 빠른 완화_칼슘폴리네이트 주사(대표 상품명:류코보린주)

칼슘 폴리네이트(Calcium folinate) 주사제와 수용성 비타민 B9(폴산, folic acid)는 관련이 있지만 아주 같은 것은 아닙니다. ​ 차이점 ​ [구조와 형태] 폴산(Folic Acid): 비타민 B9의 합성 형태입니다. 체내에서 활성 형태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칼슘 폴리네이트(Calcium Folinate): 폴산(Folic Acid)의 활성 형태인 폴리신산(folinic acid)의 칼슘 염입니다. 이미 활성화된 형태이므로, 체내에서 별도의 전환 과정 없이 바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 [용도] 폴산(Folic Acid): 주로 비타민 B9 결핍 예방 및 치료, 특히 임신 중 신경관 결손 예방을 위해 사용됩니다. 칼슘 폴리네이트(Calcium Folinate): 5-FU항암제 치..

암info 2024.06.22

[위암]조기 위암_내시경적 점막하층박리술(ESD)_적응증

위암에 있어서 내시경적 점막하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의 적응증은 아래와 같습니다: ​ [병리학적 특징] 1. 분화형 선암(Well-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일반적으로 점막하층을 침범하지 않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2. 크기와 깊이: 2 cm 이하의 점막암 또는 3 cm 이하의 분화형 점막암. 3. 궤양이 없는 경우 또는 점막에만 국한된 경우. ​ [위치 및 크기] 1. 병변의 크기가 2 cm 이하이고, 침윤 깊이가 점막하층까지 미치지 않는 경우. 2. 분화형 위암으로 3 cm 이하인 경우, 궤양이 없는 경우. ​ ​ [림프절 전이 여부] 1. 내시경 초음파(EUS) 검사 등을 통해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2. ..

암info 2024.06.22

[대장암]전이된 대장암 일반적인 다학제 치료 지침_NCCN 최신 가이드라인

대장암의 흔한 전이 부위로는 간과 폐가 있으며, 종양의 약 20%에서 처음 진단 시 전이가 발견되고, 전체 대장암 환자의 50% 이상에서 전이가 발생합니다. 전이성 대장암(mCRC)에 대한 NCCN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치료 방법은 암의 분자적 특징에 따라 다릅니다. ​ [전이성 대장암 일반적인 다학제적 치료 전략] ​ 모든 mCRC 환자에게 RAS, BRAF, MSI 상태, HER2 발현, NTRK 및 RET 돌연변이 등의 분자 바이오마커 테스트가 권장됩니다. 이 테스트를 통해 목표 가능한 변이를 식별하고 치료 전략을 맞춤화할 수 있습니다​ (NCCN)​​ (AJMC)​. ​ [1차 치료] ​ 화학요법: FOLFOX (leucovorin, fluorouracil, oxaliplatin) 또는..

암info 2024.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