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담낭암]치료_ 세포독성 항암제_표적항암제_ 면역관문억제제 종류

[세포독성 항암제] 1. 젬시타빈(Gemcitabine, Gemzar): DNA 합성을 방해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2. 시스플라틴(Cisplatin, Platinol): DNA 손상을 유발하여 암세포를 사멸시킵니다. 3. 5-플루오로우라실(5-FU): DNA 및 RNA 합성을 방해합니다. 4. 카페시타빈(Capecitabine, Xeloda): 경구 투여 가능한 항암제로, 5-FU로 전환되어 작용합니다. 5.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Eloxatin): 플라티늄 기반 항암제로, DNA 복제를 방해합니다. ​ [표적항암제] 1. 렌바티닙(lenvatinib): 타이로신 키나제 억제제(TKI)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혈관 생성을 차단하여 종양의 성장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2. ..

암info 2024.07.02

[전립선암]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직장염은 전립선암 환자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중 하나입니다. ​ [원인] ​ 방사선 치료는 전립선암 세포를 파괴하기 위해 고에너지 방사선을 사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립선 주변 조직, 특히 직장 조직도 일부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직장의 세포가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 방사선 직장염의 증상은 경미한 것부터 심각한 것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증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직장 출혈: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습니다. ​ 직장 통증: 배변 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변비 또는 설사: 배변 습관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배변 시 긴급함: 갑자기 배변 욕구가 강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배변 ..

암info 2024.07.02

[유방암]피크레이(Piqray_Alpelisib) 표적 항암제_고혈당 부작용 관리

피크레이(Piqray, 성분명: 알펠리십)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 음성(HER2-)인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복용 항암제입니다. ​ 피크레이는 PI3K 알파라는 특정 효소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 [피크레이의 주요 작용 기전] ​ PI3K 경로 억제: 피크레이는 PI3K(Phosphoinositide 3-kinase) 알파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암세포의 생존과 성장을 저해합니다. PI3K 경로는 세포 성장, 증식, 생존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호 전달 경로입니다. ​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 대상: 피크레이는 특히 PIK3CA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유방암 환자들에게 효과적입니다. 이 돌연변이는 PI3K 경로를..

암info 2024.07.02

삼중음성유방암_방사선 치료와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 적응증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삼중음성 유방암(TNBC) 치료에는 방사선 치료와 화학 요법과 병용한 펨브롤리주맙(Keytruda)의 사용이 포함됩니다. ​ 이 병용치료법의 근거는 초기 단계의 TNBC 치료에서는 KEYNOTE-522 연구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이 연구는 수술 전(신보조요법) 펨브롤리주맙과 화학 요법을 병용하고, 수술 후(보조요법) 펨브롤리주맙을 추가했을 때 사건 없는 생존율이 화학 요법 단독보다 개선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병용 요법은 초기 단계의 고위험 TNBC 환자에게 권장되며, 국소 및 원격 질병 제어를 향상시킵니다. ​ 참고로...NCCN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방사선 치료는 TNBC의 다중 양식 ..

암info 2024.07.02

[최신지견]HER2양성 초기 유방암_퍼제타+허셉틴 병용요법의 중요성

2024년 ESMO(유럽종양학회)가이드라인에서는 병리학적 완전관해(pCR)을 달성했으나 림프절 전이가 있는 HER2 양성 초기 유방암 환자에게 퍼제타(pertuzumab)와 허셉틴(trastuzumab) 병용 요법을 가장 강력한 권고 수준인 Category I, A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 이는 임상시험에서 이 병용 요법이 보조 치료로 사용될 때 침습성 무병생존율(IDFS)과 전체 생존율(OS)을 크게 개선한 결과에 근거합니다. ​ 이에 비해, NCCN 가이드라인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고위험 환자를 포함하여 HER2 양성 유방암에 퍼제타와 허셉틴을 권장합니다. NCCN 가이드라인은 이중 HER2 차단이 neoadjuvant및 adjuvant 치료 모두에서 pCR 비율과 장기적인 결과를 향상시키는 중요성을..

암info 2024.06.22

[유방암]HER2 양성표적항암제_퍼제타(pertuzumab)

퍼제타(pertuzumab)는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표적 항암제입니다. ​ 이는 허셉틴(trastuzumab)과 결합할 때 더욱 효과적입니다. 허셉틴은 HER2 수용체의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작용하며, 두 약물의 병용 요법은 HER2 양성 유방암 세포에 대한 보다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 [적응증] ​ 퍼제타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1. 전이성 유방암: 다른 항암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며,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암의 진행을 늦추고 생존율을 향상시킵니다. 2. 보조요법: 초기 HER2 양성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림프절 전이가 있는 고위험 환자에게 권장됩니다. ​ 퍼제타의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장 독성 설..

암info 2024.06.22

[위암]조기위암 치료법_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과 내시경 점막절제술(EMR)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ESD는 종양과 그 주변의 점막하 층을 포함한 조직을 한 번에 절제합니다. 이는 종양이 큰 경우나 병변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정확한 절제를 가능하게 합니다. ​ 적응증: 주로 크기가 크거나, 점막하로 침윤된 종양, 불규칙한 경계의 종양에 사용됩니다. ​ [장점] 1. 완전 절제: ESD는 종양의 경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제거할 수 있어 완전 절제율이 높습니다. 2. 병리학적 평가: 종양을 한 번에 절제하기 때문에 병리학적 평가가 더 용이합니다. 3. 재발률 감소: 종양이 완전히 제거되므로 재발률이 낮습니다. ​ [단점] 1. 시술 시간: EMR에 비해 시술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2. 합병증: 점막하를 절제하..

암info 2024.06.22

[위암]조기 위암의 수술적 치료 방법

조기 위암(early gastric cancer, EGC)의 수술적 치료는 주로 종양의 위치, 크기, 침윤 깊이 및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 [내시경적 절제술] ​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 주로 종양이 점막에 국한되고 크기가 작으며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는 병리학적 평가를 통해 완전 절제가 확인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 내시경 점막 절제술(EMR): 작은 크기의 종양에 대해 수행되며, 병리학적 검사에서 높은 완전 절제율을 보입니다. ​ [수술적 절제술] ​ 위절제술(gastrectomy): 종양이 점막을 넘어 근육층이나 더 깊이 침윤한 경우 적용됩니다. 근치적 절제(radical gastrectomy)와 림프절 절제술(d2 lymphadenectomy)이 포함..

암info 2024.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