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비소세포폐암]ROS1 변이를 가진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표적항암제

1. 크리조티닙 (Crizotinib): ROS1 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1세대 표적항암제로, 객관적 반응률이 약 70%이며 무진행 생존기간(PFS)은 약 15~19개월입니다. ​ 2. 엔트랙티닙 (Entrectinib): 크리조티닙과 유사하게 ROS1 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로, 중추신경계 전이에도 효과적입니다. ​ 3. 로라티닙 (Lorlatinib): 크리조티닙에 내성이 생긴 환자에게 사용되는 3세대 ALK/ROS1 억제제로, 중추신경계 전이에도 효과적입니다. ​ 4. 이 외에도 새로운 표적치료제들이 임상시험 중에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유전자 변이 프로파일에 따라 적절한 치료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로...우리나라 환자의 경우 비소세포폐암(선암, adenocarconoma)중에서도 RO..

암info 2024.07.23

[비소세포폐암]EGFR양성_1세대_2세대_3세대 표적항암제

EGFR 양성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를 위한 표적항암치료제는 세 가지 세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세대는 특정 EGFR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 [1세대 EGFR-TKI] ​ 1세대 EGFR-TKI는 **게피티닙(이레사)**와 **엘로티닙(타세바)**가 대표적입니다. 이 약물들은 EGFR의 ATP 결합 부위를 차단하여 세포 증식을 억제합니다. 그러나 T790M 돌연변이와 같은 내성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세대 EGFR-TKI] ​ 2세대 EGFR-TKI는 **아파티닙(길로트리프)**와 다코미티닙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1세대 약물보다 더 강력하게 EGFR을 억제하며, 일부 내성 돌연변이에도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부작용이 더 강할 수 있습니다. ​..

암info 2024.07.20

[폐암]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치료에 있어서 NGS검사의 유용성

NGS검사란 차세대염기서열분석으로 환자의 조직 또는 혈액을 이용하며 수많은 유전자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그 유용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여러 측면에서 NGS 검사의 유용성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 1. 정밀한 유전자 분석: NGS 검사는 많은 수의 유전자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일 유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검사 방법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비소세포폐암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 2. 개인 맞춤형 치료: NGS를 통해 발견된 특정 유전자 변이(EGFR, ALK, ROS1, BRAF, KRAS 등)에 따라 환자에게 적합한 표적치료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불필요한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

암info 2024.07.20

[정위방사선치료]수술이 어려운 4기 폐암도 완치를 목표로 적용가능

전이된 폐암에 대한 정밀한 방사선 치료, 특히 위치 보정이 가능한 방사선 치료 기술은 상당히 발전하였습니다. ​ 이러한 치료 방법 중 하나는 정위 방사선 치료(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입니다. SBRT는 전이된 암 부위를 매우 정확하게 타겟으로 하여 고강도 방사선을 짧은 기간 동안 여러 번에 걸쳐 전달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정상 조직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SBRT의 주요 특징과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확성: SBRT는 고도로 정밀한 방사선 치료 기법으로, 종양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방사선을 집중적으로 쏘아 종양을 표적으로 삼습니다. 이를 위해 3D 이미지 기술과 컴퓨터 보조 기술을 사용하여 종양..

암info 2024.07.20

[유방암]수술 후 합병증_겨드랑이막 증후군(Axillary Web Syndrome, AWS)

겨드랑이막 증후군(Axillary Web Syndrome, AWS)은 유방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지연성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주로 겨드랑이 림프절 절제술(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LND)이나 감시 림프절 생검(sentinal lymph node biopsy, SLNB) 후에 발생합니다. ​ [증상] ​ AWS는 겨드랑이에서 팔 안쪽으로 이어지는 끈 모양의 조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끈 모양의 조직은 피부 아래에서 만져지거나 보일 수 있으며, 팔을 움직일 때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수술 후 몇 주에서 몇 달 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원인] ​ AWS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수술 후 혈관과 림프관이 치유되..

암info 2024.07.20

[유방암]수술 후 합병증_겨드랑이막 증후군(Axillary Web Syndrome, AWS)

겨드랑이막 증후군(Axillary Web Syndrome, AWS)은 유방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지연성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주로 겨드랑이 림프절 절제술(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LND)이나 감시 림프절 생검(sentinal lymph node biopsy, SLNB) 후에 발생합니다. ​ [증상] ​ AWS는 겨드랑이에서 팔 안쪽으로 이어지는 끈 모양의 조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끈 모양의 조직은 피부 아래에서 만져지거나 보일 수 있으며, 팔을 움직일 때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수술 후 몇 주에서 몇 달 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원인] ​ AWS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수술 후 혈관과 림프관이 치유되..

암info 2024.07.20

[갑상선암]갑상선암 수술 이후 주요 우울장애 위험 증가_연구2021년

삼성서울병원 전홍진 교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갑상선전절제술 또는 갑상선부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수술 전후로 주요 우울장애 위험이 상승한다고 밝혔습니다.(2021년) 특히 갑상선전절제술 환자의 경우, 수술 후 첫 30일 동안 우울장애 위험이 크게 증가하고 장기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갑상선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주요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비율은 8.9%였습니다. 또한, 갑상선전절제술 환자의 우울장애 위험은 수술 후 첫 30일 동안 1.98배 증가했으며, 갑상선부분절제술 환자는 1.75배 증가했습니다. 이 위험 증가는 갑상선암 환자에서도 확인되었으며, 갑상선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수술 후 271~540일 동안 우울장애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 ​ 전 교수는 이러한..

암info 2024.07.20

[방사선치료]방사선 치료 유발 만성 두드러기 대처방안

방사선 치료로 유발된 만성 두드러기(Radiation-induced chronic urticaria)는 방사선 치료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드문 부작용입니다. ​ 이러한 경우의 두드러기는 피부에 발생하는 가려운 발진으로, 통증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일시적일 수도, 지속적일 수도 있습니다. ​ 특히.. 만성 두드러기는 6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 [원인] ​ 방사선 치료는 암 치료를 위해 사용되며, 고에너지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합니다. 그러나 방사선은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피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로 인해 피부 세포가 손상되면 면역 반응이 유발되어 두드러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발진: 피부에 붉은 발진이 나타납니다. ..

암info 2024.07.20

[유방암]유방암_간전이 환자_리보시클립(키스칼리) 표적항암제 치료 실패 이후 가능한 다양한 치료 옵션

리보시클립(Kisqali) 치료 중 간에 다발성 전이가 발생한 호르몬 수용체 양성, HER2 음성 유방암 환자에게 NCCN 가이드라인에 따른 치료 옵션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1. 항암화학요법: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약물로는 카페시타빈(젬자, gemcitabine), 에리불린, 비노렐빈(나벨빈, vinorelbine), 파클리탁셀과 독세탁셀 같은 탁센 계열 약물이 있습니다. 이들은 환자의 이전 치료와 부작용 프로필을 기반으로 선택됩니다. 2. CDK4/6 억제제: 리보시클립 치료 중 질병이 진행된 경우, 팔보시클립이나 아베마시클립과 같은 대체 CDK4/6 억제제를 내분비 요법과 함께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내분비 요법: 최근 내분비 요법을 받지 않은 환자의 경우, 풀베스트란트 단독 또는 표적 치료제(..

암info 2024.07.20

[소세포폐암]소세포폐암의 임상적 주요 특징

소세포폐암(Small Cell Lung Cancer, SCLC)은 비소세포폐암(NSCLC)과는 다른 여러 임상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임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빠른 성장과 전이: ​ 소세포폐암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조기에 전이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발견될 때 이미 주변 림프절이나 원격 장기로 전이된 경우가 많습니다. ​ 2.중심성 위치: ​ 소세포폐암은 주로 기관지와 같은 폐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기도의 폐쇄나 호흡곤란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3.호르몬 분비: ​ 소세포폐암은 신경내분비세포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호르몬이나 바이오마커를 분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이뇨호르몬(ADH)을 분비하여 SIADH(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를..

암info 2024.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