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갑상선암]재발 방지 TSH(갑상선자극호르몬)억제 요법 일반적 지침

TSH 억제 치료는 갑상선 호르몬 복용을 통해 체내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수치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갑상선 암 환자에게 특히 중요합니다. ​ [TSH 억제 치료의 목표와 방법] ​ 목표:TSH 수치를 정상 범위보다 낮게 유지하여, 남아 있을 수 있는 갑상선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은 갑상선 세포와 갑상선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여 재발 위험을 줄입니다. ​ 방법:갑상선 호르몬(T4) 복용:레보티록신(Levothyroxine)이라는 갑상선 호르몬제를 복용합니다. 이는 T4 호르몬의 합성 버전으로, 체내 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높이고 TSH 수치를 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 복용량 조절:환자의 개별 상태와 치료 목표에 따라 복용량..

암info 2024.08.22

[case]69세 여자환자 위암_수술 후 면역화학검사

면역화학검사 결과: C-erbB2 (Her2): Negative (0) MLH1: No loss of expression MSH2: No loss of expression MSH6: No loss of expression PMS2: No loss of expression EGFR: Negative ​ 분석 및 설명: 1. C-erbB2 (Her2): 음성 ​ C-erbB2 (또는 Her2)는 위암과 유방암에서 종양 세포의 증식과 관련된 단백질입니다. 이 결과가 음성이라는 것은 환자의 종양이 Her2 단백질을 과발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er2 음성인 경우, Her2 표적 치료 (예: Trastuzumab)는 효과가 없습니다. ​ 2.​ MLH1, MSH2, MSH6, PMS2: No loss ..

암info 2024.08.22

[정밀검사]혈액내 순환 암세포(CTC) 검사의 유용성과 한계점

CTC(Circulating Tumor Cells) 검사는 혈액 내 순환 중인 암세포를 탐지하고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혈액을 통해 암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특히 전이성 암의 진단과 치료 모니터링에 유용합니다. ​ CTC 검사란? CTC 검사는 혈액 내에 존재하는 암세포(순환 종양 세포)를 찾아내는 검사입니다. 순환 종양 세포는 원발성 종양에서 떨어져 나와 혈액을 통해 몸의 다른 부위로 이동하여 새로운 종양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들입니다. ​ [검사 목적] 암 진단: 초기 암 진단 및 전이성 암의 존재 여부를 평가합니다. 예후 평가: 특정 암의 진행 상황 및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 모니터링: 항암 치료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치료 후 재발 ..

암info 2024.08.22

[소세포폐암]소세포폐암의 임상적 주요 특징

소세포폐암(Small Cell Lung Cancer, SCLC)은 비소세포폐암(NSCLC)과는 다른 여러 임상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임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빠른 성장과 전이: 소세포폐암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조기에 전이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발견될 때 이미 주변 림프절이나 원격 장기로 전이된 경우가 많습니다. 2.중심성 위치: 소세포폐암은 주로 기관지와 같은 폐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기도의 폐쇄나 호흡곤란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호르몬 분비: 소세포폐암은 신경내분비세포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호르몬이나 바이오마커를 분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이뇨호르몬(ADH)을 분비하여 SIADH(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암info 2024.08.22

[정밀검사]여성암에 대한 Estronex소변검사의 유용성

Estronex 소변검사는 소변을 통해 여성의 에스트로겐 대사 산물(estrone metabolites)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에스트로겐 대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 대사 과정이 건강한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에스트로겐 대사는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부 대사 산물은 건강에 유익할 수 있지만, 다른 일부는 암과 같은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주요 측정 항목 2-Hydroxyestrone (2-OHE1): 일반적으로 "좋은" 에스트로겐 대사 산물로 간주되며, 더 안전한 경로로 에스트로겐을 대사합니다. 16α-Hydroxyestrone (16α-OHE1): 상대적으로 더 "나쁜" 대사 산물로 간주되며, 고농도로 있을 경우 유방암 및 기타 호르몬 관..

암info 2024.07.23

혼합형 폐암(mixed type lung cancer) 환자의 화학요법 치료_ NCCN 가이드라인

혼합형 폐암(mixed type lung cancer) 환자의 화학요법 치료에 대한 최신 NCCN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치료 접근 방식은 비소세포폐암(NSCLC)과 소세포폐암(SCLC)의 특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 1. 비소세포폐암(NSCLC) 특성을 가진 경우: ​ 표적치료: EGFR, ALK, ROS1, BRAF, MET, RET 변이가 있는 경우 해당 표적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화학요법: NSCLC에 대해 표준으로 사용되는 백금기반 화학요법(cisplatin 또는 carboplatin 기반의 이중요법) 적용이 가능합니다. ​ 면역치료: PD-L1 발현율이 높은 경우 pembrolizumab, nivolumab, atezolizumab 등의 면역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

암info 2024.07.23

[case]폐암:선암종+큰세포 신경내분비암종과 혼합된 형태_면역조직검사결과

1. SMARCA4: Positive SMARCA4는 종양 억제 유전자 중 하나로, 여러 종류의 암에서 유전자 변이 또는 발현 감소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 결과가 양성이라는 것은 해당 유전자가 정상적으로 발현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 CD56: Positive CD56은 신경세포와 관련된 세포 표지자로, 신경내분비 종양에서 자주 발현됩니다. 양성이라는 결과는 종양이 신경내분비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3. Chromogranin: Positive Chromogranin은 신경내분비 세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신경내분비 종양의 중요한 표지자입니다. 양성 결과는 신경내분비 세포의 존재를 의미합니다. 4. CK5/6: Focal, Positive CK5/6는 상피세포의 마커로, 특히 편평상피..

암info 2024.07.23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유전자 분석을 통해 발견되는 주요 유전자 변이와 그에 따른 표적항암제

1. BRCA1/BRCA2 변이: 암종: 주로 유방암과 난소암에서 발견. 치료제: 올라파립(olaparib), 니라파립(niraparib), 루카파립(rucaparib), 탈라조파립(talazoparib), 벨리파립(veliparib)과 같은 PARP 억제제. ​ 이 약물들은 BRCA1/2 결핍 세포에서 합성 치사성을 이용하여 DNA 복구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2. EGFR 변이: 암종: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흔히 발견. 치료제: 에를로티닙(erlotinib), 게피티닙(gefitinib), 아파티닙(afatinib), 오시머티닙(osimertinib)과 같은 EGFR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 ​ 이 약물들은 변이된 EGFR이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신호 경로를 차단합니..

암info 2024.07.23

[비소세포폐암]KRAS 변이에 적용가능한 최신 표적치료제 정리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KRAS 변이를 가진 환자를 위한 표적 치료제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KRAS 변이는 비소세포폐암의 중요한 드라이버 변이 중 하나로, 가장 최근 몇 년간 이를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가 개발되었습니다. 주요 치료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Sotorasib (AMG 510) ​ 상표명: Lumakras ​ FDA 승인: 2021년 5월 ​ KRAS G12C 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최초의 표적 치료제 ​ 작용 기전: KRAS G12C 단백질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막음 ​ 2. Adagrasib (MRTX849) ​ 상표명: Krazati ​ FDA 승인: 2022년 12월 ​ KRAS G12C 변이를 타겟으로 함 ​ 작용 기전: KRAS G12C 단백질을 비가역..

암info 2024.07.23

[비소세포폐암]BRAF 양성변이에 사용되는 표적항암제 병용요법

비소세포폐암(NSCLC) 선암에서 BRAF 양성 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표적항암제는 주로 BRAF 억제제와 MEK 억제제를 병용하여 사용합니다. 주요 약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다브라페닙(Dabrafenib): BRAF V600E 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BRAF 억제제입니다. ​ 트라메티닙(Trametinib): MEK 억제제로, 다브라페닙과 병용하여 사용됩니다. ​ 이 두 약제의 병용 요법은 BRAF V600E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posted by yourdoctor

암info 2024.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