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난소암]재발된 난소암 2024년 nccn가이드라인 최신 진료 지침

재발된 난소암에 대한 진료지침은, 가장 최신버전인 2024년 NCCN 가이드라인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를 포함합니다: ​ 재평가 방법: 화학요법의 첫 2~4주기(약물에 따라 다름) 후 환자가 화학요법에서 이익을 얻었는지 재평가해야 합니다. 연속된 2개의 화학요법 체제에서 주요 진행을 보인 환자들은 추가 치료로부터 이득을 보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지지 치료, 추가 치료, 또는 임상 시험에 대한 결정은 매우 개별적인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합니다. 국소 방사선 치료는 특정 증상이 있는 질병 부위에 맞춤화된 방사선 포트를 사용할 때 효과적인 완화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재발 치료 모달리티: NCCN 패널들은 2024년 현재 재발성 난소암 치료를 위한 단일 치료제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백금 기..

암info 2024.03.03

[유방암]임신 중 유방암 최신 치료 지침_2024년 nccn가이드라인

임신 중 유방암 치료에 대한 NCCN 가이드라인 2024년 버전에 따르면, 임신과 관련되지 않은 유방암과 비교할 때 치료 시기와 방법 선택에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다음은 임신 중 유방암 치료에 대한 주요 권장사항입니다: ​ 첫 번째 삼분기: 임신을 지속하는 경우, 유방전절제 수술과 액와 림프절 병기 결정이 권장됩니다. 이 시기에는 화학요법이 권장되지 않습니다. 두 번째 및 초기 세 번째 삼분기: 유방전절제 수술 또는 유방보존수술(BCS)과 액와 림프절 병기 결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화학요법을 시작할 수 있으며, 출산 후에는 방사선 치료와 보조 내분비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출산 후: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보조 내분비 치료를 포함한 추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암info 2024.03.03

[유방암]2024년 NCCN 가이드라인 최신 권장사항 요약

2024년 NCCN 유방암 임상 진료 지침에서 이전 버전과 비교하여 달라진 주요 권장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비침윤성 유방암(DCIS) 진단 및 치료: -DCIS TisN0M0, Encapsulated 또는 solid papillary carcinoma (SPC)에 대한 진단이 수정되었습니다. -전체 유방 절제술 시 감시 림프절 생검(SLNB)을 시행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재건술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2.침윤성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 -비전이성(M0) 염증성이 아닌 침윤성 유방암에 대한 진단, 임상 단계 결정, 치료 전 시스템 요법의 기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유방 보존 수술(BCS) 후 방사선 치료의 선택사항과, 전이성(M1) 유방암 또는 재발성 질환에 대한 권장사항이 수정되..

암info 2024.03.03

[유방암]비침윤성 유방암(DCIS)_침윤성 유방암 차이점

비침윤성 유방암(DCIS, Ductal Carcinoma In Situ)과 침윤성 유방암의 주요 차이점은 암세포가 유방의 기초 구조 내에서 국한되어 있는지 혹은 주변 조직으로 침투했는지에 있습니다. ​ 1. 비침윤성 유방암(DCIS)은 유방의 유관 내부의 세포에서 시작되며, 이 세포들이 관의 경계를 넘어 주변 유방 조직으로 침투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DCIS는 초기 단계의 유방암으로 간주되며, 적절히 치료할 경우 유방암으로 발전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DCIS의 치료에는 수술(유방 보존 수술 또는 유방 절제술)과 방사선 치료가 포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호르몬 치료가 권장될 수 있습니다​​. ​ 2. 반면, 침윤성 유방암은 암세포가 유관에서 시작하여 주변 유방 조직으로 침투한 상태를 말합..

암info 2024.03.03

[유방암]삼중음성 유방암_최신 치료 동향_2024년

2024년 NCCN guideline_삼중음성 유방암(TNBC) 치료의 최신 동향 삼중음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그리고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HER2) 모두를 발현하지 않는 유방암을 말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유방암은 전통적인 호르몬 치료나 HER2 표적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치료 옵션이 제한적입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간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치료 전략과 약제들이 개발되어 TNBC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 ​ 1. PARP 억제제 BRCA1 또는 BRCA2 돌연변이를 가진 TNBC 환자들에게 PARP 억제제의 사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억제제는 DNA 손상 복구 과정에 개입하여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합니다. 최근 연구..

암info 2024.03.03

[암info]국내 암 발생 현황 및 5년 생존율_최신통계_2020년

2020년 대한민국의 암 발생 현황과 생존율에 관한 최신 통계를 소개합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평균적으로 10명 중 4명(약 40%)이 암에 걸릴 확률이 있으며, 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경우 약 70%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0년 국내 주요 암 발생 현황] ​ 갑상선암: 29,180명으로 가장 많은 발생률을 보였습니다. ​ 폐암: 28,949명으로 두 번째로 많이 발생했습니다. ​ 대장암: 27,877명으로 세 번째로 많은 발생률을 기록했습니다. ​ 위암: 26,662명, 유방암: 24,923명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 [5년 생존율] ​ 5년 생존율은 71.5%로, 10명 중 7명이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암info 2024.03.03

[암info]생수보다는 집에서 끓인 보리차를 음료수로 추천하는 이유

보리차는 전통적으로 건강 음료로 소비되어 왔으며, 최근 연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그 효능이 다시금 조명받고 있습니다. 특히, 암 환자들에게 보리차는 여러 모로 유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보리차의 유익한 효능 1. 유해물질 배출 촉진: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보리는 중금속과 니트로소아민(Nitrosoamine) 같은 유해 및 발암성 물질을 흡착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암 환자들에게 특히 중요한데, 치료 과정에서 다양한 화학 물질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2 항암 치료 중 안전한 음료: 국가암정보센터는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개인위생과 함께 음식 섭취에 주의..

암info 2024.03.03

[세포독성항암제]젬시타빈(Gemcitabine)_작용기전_주요부작용_사용방법

젬자(주)는 "젬시타빈(Gemcitabine)"으로 알려진 세포독성 항암제입니다. 젬시타빈은 항대사 약물로 분류되며, DNA 합성을 방해하여 암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젬시타빈은 여러 종류의 암 치료에 사용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암에 효과적입니다: ​ 췌장암 ​ 비소세포 폐암(NSCLC) ​ 유방암 ​ 난소암 ​ 방광암 ​ [젬시타빈의 부작용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혈액학적 부작용: 백혈구 감소증, 빈혈, 혈소판 감소증 ​ 소화기계 부작용: 메스꺼움, 구토, 설사 ​ 피로감 ​ 간 기능 장애 ​ 피부 발진 ​ [부작용 치료방법] ​ 혈액학적 부작용: 필요한 경우 성장인자나 혈소판 수혈을 통..

암info 2024.03.03

[위암]위암 전 절제술 이후 재발 한 경우_ 세포독성항암제, 표적항암제_면역관문억제제

위암(위암) 수술 후 재발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세포독성 항암제, 표적 항암제, 면역 관문 억제제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위암의 재발 치료는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 재발의 위치, 이전 치료 내역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세포독성 항암제 ​ 세포독성 항암제는 암세포의 DNA를 손상시키거나 세포분열을 방해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전통적인 항암 치료제입니다. 위암 재발 시 사용할 수 있는 세포독성 항암제로는 다음과 같은 약물이 있습니다: ​ 5-플루오로우라실(5-FU): 단독 또는 다른 약물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카페시타빈 (Capecitabine): 구강 항암제로 5-FU의 전구 약물입니다. ​ 플래티넘 기반 항암제 (예: 시스플라틴, 옥살리플..

암info 2024.03.03

[전립선암]전립선 완전 절제술 이후 재발된 전립선암에 사용할 수 있는 세포독성항암제_ 표적항암제_면역관문억제제

전립선암이 전립선 완전 절제술 이후에 재발했을 경우, 여러 치료 옵션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 옵션 중에는 세포독성 항암제, 표적 항암제, 그리고 면역 관문 억제제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암세포를 타겟하며, 환자의 구체적인 상황과 암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습니다. ​ 1.세포독성 항암제 ​ 세포독성 항암제는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막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전립선암의 경우, 다음과 같은 세포독성 항암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독소루비신 (Docetaxel): 전립선암 치료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세포독성 항암제 중 하나입니다. 보통 호르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카바지탁셀 (Cabazitaxel): 독소루비신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또는 암이..

암info 2024.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