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통합암치료]파클리탁셀 항암화학요법_말초신경 부작용에 대한 글루타치온 역할_기초연구_2022년

Oral Administration of Glutathione Trisulfide Increases Reactive Sulfur Levels in Dorsal Root Ganglion and Ameliorates Paclitaxel-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in Mice Mariko Ezaka +11 more 27 Oct 2022-Antioxidants 이 논문은 파클리탁셀 유발 말초 신경병증 (PIPN) 의 마우스 모델에서 글루타티온 삼황화물 (GSSSG) 의 잠재적인 신경 보호 효과에 대해 논의하며, GSSSG가 PIPN 및 기타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한 접근법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그러나 화학요법 부작용 치료에서 글루타티온의 역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

암info 2024.03.24

[유방암 표적항암제]타이커브_캐싸일라

타이커브 (Tykerb) 성분명: 라파티닙 (Lapatinib) 제조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 (GlaxoSmithKline, GSK) FDA 승인: 2007년 3월 적응증 및 기대효과: HER2 과발현이 있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캐피시타빈 (Xeloda)과 병용하여, 이전에 앤트라사이클린, 탁산류, 트라스투주맙(허셉틴) 등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작용기전: 타이커브는 HER2 및 HER1(EGFR)의 티로신 키나아제 영역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이는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차단하여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주요 부작용: 설사, 발진, 구역, 구토, 피로감, 손발톱 변화 및 간 기능 이상 등이 ..

암info 2024.03.24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표적항암제 _입랜스_키스칼리_버제니오

1. 입랜스 (Ibrance) 성분명: 팔보시클립 (Palbociclib) 개발회사: 화이자 (Pfizer) FDA 승인: 2015년 작용기전: CDK4/6 (cyclin-dependent kinase 4 and 6) 억제제. 이 효소는 세포 주기 조절에 관여하여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억제합니다. 유방암 적응증: 호르몬 수용체(HR) 양성, HER2 음성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병용 치료제입니다. 기대효과: 생존기간 연장,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 감소 부작용: 중성구 감소증, 피로, 구내염, 감염 위험 증가 등 2. 키스칼리 (Kisqali) 성분명: 리보시클립 (Ribociclib) 개발회사: 노바티스 (Novartis) FDA 승인: 2017년 작용기전: 입랜스와 마찬가지로 CD..

암info 2024.03.24

[BRCA변이 유방암]린파자_탈제나_표적항암제 적응증, 주요부작용

린파자 (Lynparza) 성분명: 올라파립 개발회사: 아스트라제네카 및 머크 (미국 및 캐나다 외 지역에서는 MSD로 알려짐) FDA 승인: 처음 2014년에 FDA 승인을 받았으며, 그 이후 여러 적응증으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었습니다. BRCA 변이를 가진 유방암을 포함합니다. 유방암에 대한 적응증 및 기대효과: 유해하거나 유해할 것으로 의심되는 선천적 BRCA 변이, HER2 음성 전이성 유방암을 치료받은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되었습니다. 질병의 진행 없는 생존 기간을 현저하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요 부작용: 빈혈, 구토, 피로, 호흡기 감염, 설사, 백혈구 감소증, 호중구 감소증. 탈제나 (Talzenna) 성분명: 탈라조파립 개발회사: 화이자 FDA 승인: 2018년 10월 FDA ..

암info 2024.03.24

[유방암]허셉틴_퍼제타 표적항암제 사용시 특히 유의해야 할 부작용

허셉틴(성분명: 트라스투주맙)과 퍼제타(성분명: 퍼투주맙)는 모두 HER2 양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하는 항암제입니다. 허셉틴은 로슈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FDA 승인은 1998년에 받았습니다. 퍼제타 역시 로슈에서 개발되었고, 2012년에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두 약물 모두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에 혁신적인 옵션을 제공하며, 특히 허셉틴은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부작용 측면에서 두 약물은 일부 차이를 보입니다. 허셉틴의 경우,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열, 오한, 구토, 감염, 심장 문제 등이 있으며, 특히 심장에 대한 부작용이 주요 우려 사항 중 하나입니다. 퍼제타는 허셉틴과 함께 사용될 때 심장 문제, 설사, 간질성 폐질환, 피부 반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암info 2024.03.24

[HER2양성 유방암]허셉틴(트라스투주맙)과 퍼제타(퍼투주맙) 적용 차이점 및 기대하는 항암효과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가지 표적 항암제인 허셉틴(성분명: 트라스투주맙)과 퍼제타(성분명: 퍼투주맙)는 모두 HER2 단백질에 대한 특정한 치료를 제공하며, 이 단백질은 일부 유방암에서 과다하게 발현되어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이 두 약물은 유사한 기전을 가지고 있지만, 사용법, 적응증, 그리고 기대 효과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1. 허셉틴 (트라스투주맙)적응증: 허셉틴은 HER2 양성 유방암과 일부 위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초기 및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단독 치료제로 사용되거나 다른 항암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대효과: HER2 단백질에 결합하여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초기 유방암에서는 재발 위험을 줄이는..

암info 2024.03.20

[고용량 정맥 비타민C]면역관문억제제와 병행치료 가능성에 대한 2023년 최신 논문_ALFEO pilot study

High-dose vitamin C to enhance neoadjuvant immune checkpoint therapy in mismatch repair proficient colon cancer: The ALFEO pilot study. Andrea Sartore-Bianchi +19 more 01 Jun 2023-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LFEO 파일럿 연구에서는 대장암 환자를 위한 신보조 치료의 일환으로 고용량 비타민 C (HDVitC) 를 사용했습니다. 연구에서 HDVitC의 투여 방법은 정맥 주입을 사용했습니다. HDvitC의 투여 용량은 70g/m2였습니다. HDVitC는 1~3일과 15-17일의 두 차례에 걸쳐 투여되었습니다. ALFEO 파일럿 연구는 고용량 ..

암info 2024.03.20

[TCGA study]자궁내막암_유전체검사

TCGA(The Cancer Genome Atlas)는 암 유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유형의 암에 대해 유전적 변이, 유전자 발현 패턴, DNA 복제 및 메틸화와 같은 분자적 특성을 조사합니다. 자궁내막암에 대한 TCGA 연구는 자궁내막암의 유전적 및 분자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암의 분류, 진단, 치료 및 예후 예측에 유용한 바이오마커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CGA 프로젝트는 자궁내막암 샘플을 수집하여 전체 유전체 시퀀싱, RNA 시퀀싱, 메틸화 프로파일링, 프로테오믹스 분석 등 다양한 유전체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데이터는 자궁내막암의 주요 유전적 변이, 발생 메커니즘, 서브타입 분류, 그리고 잠재적인 치료 표적..

암info 2024.03.20

[자궁내막암]발병요인_역학_초기평가와 치료전략

비교적 최신 NCCN 자궁내막암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자궁내막암 진단, 병기 결정 및 관리에 대한 포괄적 접근 방식이 제공됩니다. 자궁내막암은 미국에서는 여성 생식기 종양 중 가장 흔한 암으로, 2022년에만 65,950건의 새로운 사례가 발생했다고 추정됩니다. 국내에서도 자궁내막암 발병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연간 3000명 이상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은 순수 내막암과 고위험 자궁내막 병리학을 포함하는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구성되며, 이에는 자궁혈관내막암, 선명세포암, 암육종, 미분화/탈분화암 등이 포함됩니다. 자궁내막암 발병 위험 요인으로는 비만, 당뇨병, 대조되지 않은 에스트로겐 사용, 유전적 소인 등이 있습니다. 조기 증상인 자궁출혈이나 폐경 후 출혈은 조기 진단을 유도하는 중..

암info 2024.03.20

[자궁내막암]기본 분류 및 단계별 치료 적응증_기본사항

자궁내막암은 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Type I (에스트로겐 의존형) 특징: 이 유형은 종종 에스트로겐과 연관되어 있으며, 비교적 초기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상적으로 예후가 더 좋은 편입니다. 대표적 병리: 내분비성 내막암, 관상내막암 등 Type II (에스트로겐 비의존형) 특징: 이 유형은 보통 에스트로겐과의 연관성이 없으며, 보다 공격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종종 더 높은 병기에서 발견되고,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대표적 병리: 유리세포암, 장액성암, 클리어셀 암 등 [기본 치료 방침] 자궁내막암의 치료 방침은 병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환자의 치료에 대한 선호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1.수술 초기 단계의 자궁내막암 치료의 주된 방법은 수술입니..

암info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