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729

[자궁내막암]기본 분류 및 단계별 치료 적응증_기본사항

자궁내막암은 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 Type I (에스트로겐 의존형) ​ 특징: 이 유형은 종종 에스트로겐과 연관되어 있으며, 비교적 초기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상적으로 예후가 더 좋은 편입니다. ​ 대표적 병리: 내분비성 내막암, 관상내막암 등 ​ Type II (에스트로겐 비의존형) ​ 특징: 이 유형은 보통 에스트로겐과의 연관성이 없으며, 보다 공격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종종 더 높은 병기에서 발견되고,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 대표적 병리: 유리세포암, 장액성암, 클리어셀 암 등[기본 치료 방침] ​ 자궁내막암의 치료 방침은 병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환자의 치료에 대한 선호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 1.수술 ​ 초기 단계의 자궁내막..

암info 2024.03.20

[인두암]발생 부위별 분류_인두의 악성신생물

인두의 악성신생물(암)은 인두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 위치에 따라 분류됩니다. 인두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상인두(비인두), 중인두(구인두), 하인두(후두인두). 각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신생물(암)은 그 치료 방법과 예후가 다를 수 있습니다. 1. 상인두(비인두) 암 분류: 주로 비림프종, 특히 비인두암종이 흔합니다. 치료 지침: 초기 단계: 방사선 치료가 주로 사용됩니다. 진행된 단계: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의 병합요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수술은 선택된 경우에만 적용되며, 주로 재발 시나 다른 치료 방법에 반응하지 않을 때 고려됩니다. 2. 중인두(구인두) 암 분류: 주로 편평세포암종이 발생합니다. 치료 지침: 초기 단계: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가 사용될 수..

암info 2024.03.20

[유방암]유방암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표적항암제_정리

1. 허셉틴 (Herceptin): HER2/neu 과발현에 대한 표적항암제로,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 사용됩니다. 2. 퍼제타 (Perjeta):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전이성 또는 절제 불가능한 국소 재발성 유방암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3. 타이커브 (Tykerb): HER2 과발현이 있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4. 캐싸일라 (Kadcyla):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5. 오기브리 (Ogivri): 허셉틴의 생물학적 유사체로, HER2 양성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6. 허쥬마 (Herzuma): 허셉틴의 생물학적 유사체로, HER2 양성 유방암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7. 입랜스 (Ibrance): 호르..

암info 2024.03.20

[난소암]니라파립(제쥴라)단독요법_2023년 최신지견

Safety and management of niraparib monotherapy in ovarian cancer clinical trials Bradley J. Monk, Antonio González-Martín, Lynn Buckley, Ursula A. Matulonis +4 more 15 Feb 2023-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al Cancer-Vol. 33, Iss: 6, pp 971-981 “ 난소암 임상시험에서의 니라파립 단독 요법의 안전성 및 관리” 논문의 결론요약 니라파립은 바이오마커 상태와 상관없이 진행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무진행 생존율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니라파립을 투여받은 거의 모든 환자에서 치료로 인한 부작용이 보고되..

암info 2024.03.20

[표적항암제Q&A]제쥴라(니라파립)위장장애 부작용_일상적인 대응방안

Q) 흔하지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낮은 수준 부작용 제쥴라(니라파립) 복용환자에게 나타나는 오심, 구토, 식욕저하등 위장 질환증세를 조금이라도 완화하는 일상적인 방법은 없나요? ​ A) 야간에 니라파립을 하루 한 번 복용하면 여러 위장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야간 복용으로 위장관 증세를 어느정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니파파립 야간 복용을 권고합니다. ​ 출처 Safety and management of niraparib monotherapy in ovarian cancer clinical trials Bradley J. Monk, Antonio González-Martín, Lynn Buckley, Ursula A. Matulonis +4 more 15 Feb 2023-Inte..

암info 2024.03.20

[표적항암제]제쥴라(zejula:niraparib)항암 치료시_유의사항

제쥴라(Zejula)의 성분명은 Niraparib이며, 상품명으로는 제줄라 캡슐 [100mg]이 사용됩니다. 이 약은 한국다케다제약에서 제조되며, 경구 캡슐 형태로 제공됩니다. 제쥴라는 주로 난소암 치료에 사용되며, 주요 적응증으로는 BRCA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들의 난소암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제쥴라의 표준 복용량은 일반적으로 하루 200mg에서 300mg 사이이며, 복용 방법은 매일 동일한 시간에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하는 것입니다. 복용을 잊었을 경우, 다음 예정된 시간까지 기다렸다가 처방받은 용량을 복용하며, 복용 후 구토를 한 경우에는 추가 용량을 복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주요부작용_특히 유의할 부작용]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변비, 설사, 복통, 식욕 감소, 피로, 근육통, 불면증, 두..

암info 2024.03.20

[표적항암제_항체치료제]세툭시맙(얼비툭스:erbitux)_적응증_주요부작용_투여방법

세툭시맙은 Erbitux라는 상품명으로 사용됩니다.활성 성분은 세툭시맙 자체로, 마우스/인간 키메라 유래된 단일클론 항체입니다. 항암 작용기전: 세툭시맙은 암세포 표면에 있는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를 대상으로 합니다. EGFR에 결합함으로써, 세툭시맙은 세포 분열 및 성장을 촉진하는 경로를 차단하여 EGFR을 표현하는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주요부작용: 흔한 부작용으로는 여드름 같은 발진, 피부 건조 및 균열, 주입 관련 반응, 저마그네슘혈증, 설사 등이 있습니다. 덜 흔하지만 더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알레르기 반응과 폐 독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투여방법과 표준용량: 세툭시맙은 정맥 주입을 통해 투여됩니다. 초기 용량은 보통 2시간 동안 400 mg/m^2이며, 이후 주당 1시간 동안..

암info 2024.03.20

[표적항암제]엔코라페닙_부작용_복용방법_적응증

엔코라페닙(Encorafenib)은 표적항암치료제 중 하나로, 주로 BRAF V600 변이를 가진 암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입니다. 이 변이는 특정 유형의 암에서 흔히 발견되며,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촉진합니다. 엔코라페닙은 이러한 변이가 있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합니다. [작용기전] 엔코라페닙은 BRAF 키나제 억제제로, BRAF V600E 및 V600K 변이를 가진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특정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합니다. 이를 통해 암세포의 성장 및 분열 신호 전달 경로를 차단하며, 결국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사멸을 유도합니다. [적응증] 엔코라페닙은 특히 BRAF V600 변이 양성의 진행성 또는 전이성 흑색종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치료제입니다. 또한, 특정 조건에서 대장암과 같은 ..

암info 2024.03.20

[세포독성항암제]나벨빈(navelbine)

나벨빈(Navelbine)은 세포독성항암제로서 주로 비소세포폐암과 진행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은 비노렐빈타르타르산염이라는 주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효과: 나벨빈은 세포 내 미세소관(microtubule)의 구조를 저해하여 세포 분열과 자가 복제를 방해합니다. 이로 인해 세포가 사멸되어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부작용: 나벨빈의 부작용에는 피로, 탈모, 구역, 구토, 변비, 설사, 골수억제, 손발저림, 무기력, 주사 부위 부종/통증이 포함됩니다. 약물 상호작용: 페니토인, 황열병 백신, 생백신(황열 제외), 사이클로스포린, 타크로리무스, 아졸계 항진균제, 미토마이신 C와 같은 약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로.. 나벨빈은 탈모 부작용 발생율이 다른 항암제보다 낮아 재발,..

암info 2024.03.20

[비소세포성폐암]페메트렉시드 (pemetrexed)_작용기전

페메트렉시드 (Pemetrexed)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비소세포폐암(NSCLC)의 일차 치료로 기존 항암치료에 존슨앤존슨의 리브리반트를 병용하는 혼합 치료법을 승인했습니다. 이 조합 치료법은 카보플라틴(Carboplatin)과 페메트렉시드를 함께 사용하여 폐암 환자의 생존 기간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입니다. ​ 기전: 페메트렉시드는 pyrrolopyrimidine 항엽산유사체로 분류됩니다. 이 약은 세포 주기 특이성 항암제로, 세포 분열 중 특정 주기에서만 효과를 나타냅니다. 주로 세포 주기 중 S기에 작용하여 DNA와 RNA 합성을 방해하며,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특히 thymidylate synthase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암세포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핵산 및 단백질 합성을 ..

암info 202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