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파자 (Lynparza)
성분명: 올라파립
개발회사: 아스트라제네카 및 머크 (미국 및 캐나다 외 지역에서는 MSD로 알려짐)
FDA 승인: 처음 2014년에 FDA 승인을 받았으며, 그 이후 여러 적응증으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었습니다. BRCA 변이를 가진 유방암을 포함합니다.
유방암에 대한 적응증 및 기대효과: 유해하거나 유해할 것으로 의심되는 선천적 BRCA 변이, HER2 음성 전이성 유방암을 치료받은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되었습니다. 질병의 진행 없는 생존 기간을 현저하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요 부작용: 빈혈, 구토, 피로, 호흡기 감염, 설사, 백혈구 감소증, 호중구 감소증.
![](https://blog.kakaocdn.net/dn/q7DjX/btsGjYBohS2/v8rBxzhvIayPkKnfKY9O90/img.jpg)
탈제나 (Talzenna)
성분명: 탈라조파립
개발회사: 화이자
FDA 승인: 2018년 10월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유방암에 대한 적응증 및 기대효과: 유해하거나 유해할 것으로 의심되는 선천적 BRCA 변이, HER2 음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을 치료받은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되었습니다. 종양을 줄이고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데 있어 상당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부작용: 피로, 빈혈, 구토, 호중구 감소증, 두통, 구토, 탈모, 설사, 식욕 감소.
두 약물 모두 PARP 억제를 통한 DNA 손상 복구 경로의 방해를 기반으로 하여 특히 BRCA 변이가 있는 암 세포에 대해 효과적입니다. 이런 메커니즘은 BRCA 변이를 가진 유방암 환자의 치료에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
![](https://blog.kakaocdn.net/dn/VlVNz/btsF2Okwyxy/0ZcfF7armZjkyMkZRAyXZK/img.jpg)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표적항암제]타이커브_캐싸일라 (0) | 2024.03.24 |
---|---|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표적항암제 _입랜스_키스칼리_버제니오 (0) | 2024.03.24 |
[유방암]허셉틴_퍼제타 표적항암제 사용시 특히 유의해야 할 부작용 (0) | 2024.03.24 |
[HER2양성 유방암]허셉틴(트라스투주맙)과 퍼제타(퍼투주맙) 적용 차이점 및 기대하는 항암효과 (0) | 2024.03.20 |
[고용량 정맥 비타민C]면역관문억제제와 병행치료 가능성에 대한 2023년 최신 논문_ALFEO pilot study (0)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