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암 방사선 치료 후 삼킴장애(연하장애, Dysphagia) 치료 방침
방사선 치료 후 식도 조직이 손상되면서 염증, 섬유화, 협착 등이 발생해 삼킴장애(연하장애)가 흔하게 나타납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1. 초기 평가
내시경 검사(EGD): 식도 협착, 궤양, 염증 여부 확인
바륨 연하 검사(Barium Swallow Test): 삼킴 기능과 폐 흡인(aspiration) 여부 평가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VFSS,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연하 과정의 기능적 문제 분석
연하 내시경 검사(FEES, 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후두 및 인두의 움직임 평가

2. 비수술적 치료
1) 식도 확장술 (Esophageal Dilation)
협착(식도 좁아짐)이 있는 경우
풍선 확장술(balloon dilation) 또는 부지(probe) 이용
2) 약물 치료
프로톤펌프억제제(PPI, 예: 에소메프라졸, 오메프라졸): 방사선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 치료
스테로이드: 급성 염증 및 부종 완화
섬유화 예방 약물 (예: 펜톡시필린, 비타민 E): 방사선 후 섬유화 예방
3) 연하 재활 치료
연하 운동 치료: 연하근육 강화, 혀 운동, 삼킴 반사 개선
전기 자극 치료 (NME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인두근 자극
자세 조절 (예: 턱 숙이기, 측면으로 머리 돌리기)

3. 중증 삼킴장애 치료 (섭식 불가능한 경우)
1) 영양공급 방법
위루관(Gastrostomy tube, PEG): 장기적인 경장영양(Enteral feeding)이 필요할 경우
비위관(Nasogastric tube, NG tube): 단기적 영양 공급
2) 수술적 치료
식도 스텐트 삽입 (Esophageal Stenting): 협착이 심해 확장술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
식도 우회술: 극심한 협착 및 괴사 발생 시 고려

4. 생활 습관 및 관리
부드러운 음식 섭취: 씹고 삼키기 쉬운 음식 섭취
작게 나누어 천천히 식사
충분한 수분 섭취
고개 숙이고 삼키기 (Chin tuck technique): 흡인 방지

결론
삼킴장애 치료는 원인에 따라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며, 초기 단계에서는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 적용하고, 중증에서는 위루관, 스텐트 삽입 등의 방법을 고려합니다. 환자의 영양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하 재활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암 생존율과 항암치료 효과, 완치 가능성은? (0) | 2025.02.24 |
---|---|
"평활근육종(Leiomyosarcoma): 희귀한 악성 종양의 이해" (0) | 2025.02.24 |
항암제 부작용과 내성,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0) | 2025.02.24 |
"펜톡시필린: 혈액순환 개선과 방사선 후유증 치료의 역할" (0) | 2025.02.24 |
[비소세포폐암]"암세포가 공기를 따라 퍼진다? – 공간 침윤(STAS)와 5mm의 의미"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