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루프린(Lupron) 주사 치료 기전]
1. 호르몬 양성 유방암과 호르몬 역할
호르몬 양성 유방암(ER+/PR+)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발현하는 유방암으로, 여성호르몬(특히 에스트로겐)이 암세포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치료는 에스트로겐을 차단하거나 생성 자체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i9dW/btsL48KzP2o/gg7e0urRKDtZ0Bm2OE7ex1/img.jpg)
2. 루프린(Leuprolide, Leuprorelin)의 작용 기전
루프린은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작용제로, 뇌하수체에서 성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기전을 이용해 에스트로겐 분비를 억제합니다.
a. 초기에는 LH·FSH 자극 (flare-up 현상)
주사 후 처음 며칠 동안 GnRH 수용체가 자극되어 뇌하수체에서 황체형성호르몬(LH)과 난포자극호르몬(FSH)이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난소에서 에스트로겐 분비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b. 장기적으로 GnRH 수용체 탈감작 →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
지속적인 자극으로 인해 뇌하수체의 GnRH 수용체가 탈감작(Desensitization) 되어 기능이 억제됩니다.
결과적으로 LH와 FSH 분비가 급격히 감소하고, 난소에서 에스트로겐 생성이 거의 중단됩니다.
이는 폐경 상태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에스트로겐 의존적인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e6tw/btsL5Qo9FYG/mVRFvmVYVxS1XvJqpRkh4K/img.jpg)
3. 루프린 치료의 역할과 장점
✅ 폐경 전 여성에서 난소 기능 억제(OFS, Ovarian Function Suppression) 역할
✅ 아로마타제 억제제(AI) 치료와 병용 가능 (폐경 후 상태를 유도하여 AI 사용 가능)
✅ 타목시펜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음 (고위험군에서 병용 치료)
✅ 보조요법으로 재발 위험 감소
![](https://blog.kakaocdn.net/dn/cYczvQ/btsL4nuWN40/1f72ZwLZgkr5mM3fMuNV9k/img.jpg)
4. 부작용 및 고려할 점
✔ 폐경 유사 증상: 안면홍조, 발한, 불면증, 질 건조
✔ 골다공증 위험 증가: 장기 사용 시 뼈 건강 관리 필요
✔ 초기 플레어업 증상: 첫 1~2주간 일시적 호르몬 증가로 증상 악화 가능
✔ 심혈관계 및 대사 변화: 콜레스테롤 상승, 체중 증가 등
![](https://blog.kakaocdn.net/dn/TbYLw/btsL4LhUXIq/vkVloxnQy60QApuLJhAvKk/img.jpg)
5. 결론
루프린 주사는 GnRH 작용을 이용하여 폐경 전 여성의 에스트로겐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호르몬 양성 유방암의 진행을 막는 치료입니다. 보통 타목시펜이나 아로마타제 억제제(AI)와 병용하여 사용되며, 고위험군 유방암 환자에서 재발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aYfx/btsL4PEuJsL/bpoDkd52Gc6AOi4k1XxbX0/img.jpg)
[루프린(Lupron) 주사 치료 기간]
루프린 치료 기간은 환자의 암의 병기(stage), 재발 위험, 병용 치료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치료 기간:
보통 2~5년 동안 지속됩니다.
고위험군 환자는 최대 5년까지 사용이 권장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타목시펜 또는 아로마타제 억제제와 병용하여 3~5년 이상 사용할 경우 재발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투여 간격:
1개월 주사(3.75mg) 또는 3개월 주사(11.25mg) 형태로 투여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편의성에 따라 선택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cciZ/btsL5iTSBy6/LYhpqSJaIpIChzqRNB15p0/img.jpg)
[루프린과 졸라덱스 항 호르몬 항암 주사제 주요 차이점]
루프린 (Leuprorelin, Leuprolide)
원래 Takeda(타케다)에서 개발했으나, 이후 AbbVie(애브비)에서 판매
근육 주사 (IM, Intramuscular)
미세구형(Microsphere) 제형
졸라덱스 (Goserelin)
AstraZeneca(아스트라제네카)에서 개발 및 판매
피하 주사 (SC, Subcutaneous)
고형 임플란트형(Implant) 제형
→ 효과는 동일하지만 제조사, 제형, 투여 경로가 다릅니다.
선택은 주사 방식의 차이(근육 vs. 피하)와 개인의 선호도, 병원에서 사용 가능한 약제에 따라 결정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제공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루프린 주사 치료: 효과와 고려사항"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르몬 수용체 양성 조기 유방암 환자라면 꼭 알아야 할 NGS 검사: 맞춤형 치료의 열쇠 (0) | 2025.02.02 |
---|---|
[호르몬양성유방암]"ER+/PR-/PR+ 유방암 치료 전략: 서로 다른점" (0) | 2025.02.02 |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치료, CDK4/6 억제제가 중요한 이유 (0) | 2025.02.02 |
폐암 증세 초기 신호부터 폐암 흉통 관리법까지 (0) | 2025.02.02 |
"폐암 환자를 위한 유전자 검사 가이드: 표적 치료제 선택을 위한 PCR, 혈액액체생검(가던트),암조직NGS의 차이점"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