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K4/6 억제제(Cyclin-dependent kinase 4/6 inhibitors)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HER2 음성(HER2-) 전이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표적항암제입니다.
1. 대표적인 CDK4/6 억제제
팔보시클립(Palbociclib, Ibrance)
리보시클립(Ribociclib, Kisqali)
아베마시클립(Abemaciclib, Verzenio)
2. 기전 (Mechanism of Action)
CDK4와 CDK6는 세포주기 조절에 중요한 단백질로, 이들이 활성화되면 세포가 G1기에서 S기로 진행하여 분열하게 됩니다.
CDK4/6 억제제는 이 과정을 차단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합니다.
특히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신호에 의해 성장하는데, 호르몬 치료제(예: 아로마타제 억제제)와 병용하면 효과가 더 커집니다.
3. 적응증 (Indications)
HR+/HER2- 전이성 또는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서 1차 또는 2차 치료로 사용.
폐경 후 여성 및 일부 남성 환자에서 아로마타제 억제제(예: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와 병용.
4. 부작용 (Side Effects)
호중구 감소증 (Neutropenia)
설사 (특히 아베마시클립)
피로감, 오심, 구토
간 기능 이상
QT 연장 (특히 리보시클립)
이 약물들은 기존의 항호르몬 치료제의 내성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수목요양병원 암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치료, CDK4/6 억제제가 중요한 이유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르몬양성유방암]"ER+/PR-/PR+ 유방암 치료 전략: 서로 다른점" (0) | 2025.02.02 |
---|---|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루프린 주사 치료: 효과와 고려사항" (0) | 2025.02.02 |
폐암 증세 초기 신호부터 폐암 흉통 관리법까지 (0) | 2025.02.02 |
"폐암 환자를 위한 유전자 검사 가이드: 표적 치료제 선택을 위한 PCR, 혈액액체생검(가던트),암조직NGS의 차이점" (0) | 2025.02.02 |
"유방암 치료, 내게 맞는 유전자 검사 방법은?" - PCR(기본), 액체생검(가던트), 조직검사 NGS의 차이와 비용 비교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