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99

[유방암]골다공증 예방 목적 라록시펜(raloxifene:SERM)복용시 유의할 점

유방암 환자에게 라록시펜을 골다공증 예방 목적으로 처방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라록시펜(Raloxifene)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로,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며 유방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하지만 이미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유방암 재발 위험: 라록시펜은 일부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의 경우 재발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유방암의 유형과 환자의 호르몬 상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2. 기존 치료와의 상호작용: 유방암 환자는 다양한 항암 치료를 받고 있을 수 있으며, 라록시펜이 이 치료들과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호르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경우 상호작용에 대한..

암info 2024.09.02

[간암info]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Serum Alpha-Fetoprotein, AFP 검사)와 피브카-투 검사(PIVKA-II 검사)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Serum Alpha-Fetoprotein, AFP 검사)와 피브카-투 검사(PIVKA-II 검사)는 주로 간암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혈액 검사입니다. ​ 1.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 (AFP 검사) ​ [목적] 간암 진단: AFP는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에서 자주 상승합니다. ​ 태아의 상태 평가: 임신 중에는 태아의 신경관 결손이나 다운증후군 등의 평가를 위해 사용됩니다. ​ 종양 표지자: 간암 외에도 생식세포 종양(germ cell tumor) 등의 진단에 활용됩니다. ​ [원리] AFP는 태아의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성인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간암이나 생식세포 종양 등의 경우 혈중 AFP 수치가 상승할..

암info 2024.09.02

[간암info]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Serum Alpha-Fetoprotein, AFP 검사)와 피브카-투 검사(PIVKA-II 검사)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Serum Alpha-Fetoprotein, AFP 검사)와 피브카-투 검사(PIVKA-II 검사)는 주로 간암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혈액 검사입니다. ​ 1.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 (AFP 검사) ​ [목적] 간암 진단: AFP는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에서 자주 상승합니다. ​ 태아의 상태 평가: 임신 중에는 태아의 신경관 결손이나 다운증후군 등의 평가를 위해 사용됩니다. ​ 종양 표지자: 간암 외에도 생식세포 종양(germ cell tumor) 등의 진단에 활용됩니다. ​ [원리] AFP는 태아의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성인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간암이나 생식세포 종양 등의 경우 혈중 AFP 수치가 상승할..

암info 2024.09.02

[암info]40-50대 간암 사망률 1위_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핵심

간암 발생 주요 원인 및 증상간암은 40·50대에서 가장 높은 암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로 만성 B형간염, C형 간염, 알코올 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발생하며, 초기 증상은 무기력감, 피로감, 오른쪽 윗배의 불쾌감, 체중 감소, 식욕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암이 진행되면 통증,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고위험군의 정기적 검사 필요성간암은 증상만으로 조기 발견이 어려운 질환으로, 만성 B형간염, C형 간염, 간경변증 환자들은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초음파 검사와 혈액 검사(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 피브카-투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합니다. 특히, 만성 간염 바이러스 감염자와 과다 음주자는 반드시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 [간염의 치료 및 예방] ..

암info 2024.09.02

[논문info]방사선 치료 관련 호산구 증가(eosinophilia)의 상호관계에 대한 논문 review

방사선 요법은 암 면역 요법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양 미세 환경에서 호산구 침윤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화학방사선 치료를 받는 비인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치료 후 호산구 감소 정도가 무진행 생존, 전체 생존 및 원거리 무전이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동물 모델에서 방사선과 PD-1 억제제를 함께 투여하면 특히 호산구와 항암 T 림프구의 동원을 통해 방사선 치료 후 PD-1 억제제를 순차적으로 투여하면 호산구 및 CD8+ T 세포 침윤이 증가하여 종양 면역 미세 환경을 재형성하고 항암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니볼루맵 치료 중 호산구 수치를 모니터링하면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의 면역 관련 부작용 발생 및 ..

암info 2024.09.02

[세포독성항암제]티에스원 캡슐_(5-FU전구체)

티에스원(TS-1) 캡슐 5-FU를 기반으로 한 경구용 항암제입니다. 주로 위암, 대장암, 유방암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 [구성성분] ​ 테가푸르(Tegafur) 플루오로우라실(5-FU)의 전구체로, 체내에서 5-FU로 전환됩니다. 항암작용을 하는 주요 성분입니다. ​ 기메라실(Gimeracil) 디하이드로피리미딘 탈수소효소(DPD) 억제제로, 5-FU의 대사를 억제하여 항암효과를 증대시킵니다. ​ 오테라실(Oteracil) 오로테이트 포스포리보실 전이효소(OPRT)를 억제하여 5-FU의 장 점막 독성을 감소시킵니다. ​ [적용가능 암종류] 위암: 수술 후 보조 치료 및 진행성 또는 재발성 위암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대장암: 수술 후 보조 치료 및 진행성 대장암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유방암: 진행성..

암info 2024.09.02

방사선 치료 이후 나타난 호산구 증가증_다양한 알레르기 반응

방사선 치료 후 호산구증가증(Eosinophilia)이 나타나는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 ​ [호산구증가증의 정의] : 호산구증가증은 혈액 내 호산구의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혈액 내 호산구 수가 500/μL를 초과할 때 호산구증가증으로 간주됩니다. ​ [방사선 치료 후 호산구 증가증의 원인] 1. 면역 반응: 방사선은 면역계를 자극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호산구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조혈 작용의 변화: 방사선 치료는 골수에 영향을 미쳐 조혈 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특정 호산구가 과다 생산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치료 관련한 호산구 증가증 증상] ​ 피부 반응: 가려움증,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특히 방사선 유..

암info 2024.09.02

[호르몬 수용체 양성(ER+/PR+) 및 HER2 (-) 유방암] 특정 뼈에 전이가 잘 일어나는 경향 모니터링 중요성

호르몬 수용체 양성(ER+/PR+) 및 HER2 음성 유방암이 뼈로 전이될 때, 특정 뼈에 전이가 잘 일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위에 전이가 잘 발생합니다: ​ 1.척추 (특히 요추와 흉추) 2.골반뼈 3.늑골(갈비뼈) 3.대퇴골 (특히 대퇴골 머리) 4.두개골 ​ 이러한 부위에 전이가 잘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혈류 공급: 척추, 골반, 대퇴골 등은 혈액 공급이 풍부한 부위입니다. 암세포는 혈류를 통해 이동하며, 혈액 공급이 풍부한 부위에 정착하여 성장하기 쉽습니다. 2. 골수의 환경: 뼈 전이가 잘 일어나는 부위는 골수가 풍부한 부위입니다. 암세포는 골수의 미세환경을 이용하여 성장하고 전이될 수 있습니다. 특히,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세포는 골수의 특..

암info 2024.09.02

[전이성유방암] 분자아형별 전이되는 장기 차이점_전이예방 치료전략

일반적으로 유방암이 전이되는 장기는 발생 빈도 순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뼈 2.폐 3.간 4.뇌 ​ 유방암의 분자 아형별로 전이되는 장기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 주요 분자 아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호르몬 수용체 양성(ER+/PR+) / HER2 음성 :가장 흔하게 뼈로 전이됩니다. 폐, 간, 림프절로도 전이될 수 있습니다. ​ 2 HER2 양성 :간, 뇌, 폐로의 전이가 상대적으로 흔합니다.뼈로의 전이도 발생하지만, 다른 아형에 비해 뇌 전이 빈도가 높습니다. ​ 3. 삼중음성 유방암(TNBC,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폐와 뇌로의 전이가 상대적으로 흔합니다.뼈, 간, 림프절로도 전이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차이는 유방암의 분자적 특성과 각 ..

암info 2024.09.02

[유방암]뼈전이 환자의 근골격계 합병증 예방치료의 중요성과 치료약물들

유방암이 뼈로 전이된 환자에게 근골격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치료 방법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데노수맙입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뼈 전이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1. 비스포스포네이트 (Bisphosphonates) ​ [작용 기전]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뼈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뼈에 침착되어 파골세포(뼈를 파괴하는 세포)의 활동을 억제하여 뼈의 파괴를 방지합니다. ​ [주요 약물] 졸레드론산 (Zoledronic acid): 가장 널리 사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중 하나로, 주로 정맥 주사로 투여됩니다. ​ 파미드론산 (Pamidronate): 또한 정맥 주사로 투여되는 약물로, 졸레드론산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치료 효과] 뼈 통증 감소 ..

암info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