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소세포폐암(NSCLC)의 일반적인 항암치료 방침을 병기(stage)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병기별 항암치료 방침
1) 1기 (Stage I)
치료 목표: 완치를 목표로 수술이 최우선
주요 치료법:
수술: 폐엽절제술(lobectomy) 또는 폐전절제술(pneumonectomy) 시행
보조 항암치료:
1A기: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 불필요
1B기: 종양 크기가 4cm 이상이면 보조 항암치료(주로 백금 기반 화학요법) 고려
---
2) 2기 (Stage II)
치료 목표: 완치 목적, 적극적인 병합 치료 필요
주요 치료법:
수술: 폐엽절제술 또는 폐전절제술 + 림프절 절제
수술 후 보조 치료:
항암화학요법: 백금 기반 요법(cisplatin + vinorelbine 등)
면역항암제: 일부 고위험군에서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투여 고려
---
3) 3기 (Stage III)
치료 목표: 완치 가능성이 있으나 병기가 높아 다학제적 접근 필요
주요 치료법: 병기 세부 구분(3A, 3B, 3C)에 따라 달라짐
절제가 가능한 경우:
수술 + 보조 항암화학요법 ± 방사선 치료
절제가 어려운 경우(3B 이상):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CCR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시행
이후 면역항암제(듀발루맙, durvalumab) 유지 치료 추천
4) 4기 (Stage IV,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 목표: 생명 연장 및 삶의 질 향상 (완치는 어려움)
주요 치료법: 종양 특성 및 돌연변이 유무에 따라 맞춤 치료 진행
1) 표적 치료 (Driver mutation 존재 시)
EGFR 돌연변이: Osimertinib (오시머티닙, 타그리소)
ALK 재배열: Alectinib (알렉티닙), Lorlatinib (로라티닙)
ROS1 재배열: Crizotinib (크리조티닙)
BRAF V600E 변이: Dabrafenib + Trametinib
MET, RET, NTRK 변이: 각종 표적 치료제 사용
2) 면역치료 (PD-L1 발현에 따라 선택)
PD-L1 ≥ 50%: Pembrolizumab (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독
PD-L1 < 50%: 면역항암제 +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병합
3) 항암화학요법 (표적 치료 불가능한 경우)
백금 기반 요법: Cisplatin + Pemetrexed (비편평세포) / Cisplatin + Gemcitabine (편평세포)
2. 주요 치료 옵션 요약
비소세포폐암의 치료는 병기에 따라 수술, 항암치료, 면역치료, 표적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므로, 정확한 치료 결정은 종양 특성 및 환자 상태를 고려해 개별적으로 이뤄집니다.
posted by yourdoctor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소세포폐암]"암세포가 공기를 따라 퍼진다? – 공간 침윤(STAS)와 5mm의 의미" (0) | 2025.02.24 |
---|---|
[비소세포폐암]"공간 침윤(STAS), 수술 후에만 알 수 있을까?" (0) | 2025.02.24 |
항암치료 중 부종이 생겼다면? 원인과 대처법 알아보기 (0) | 2025.02.24 |
"IASLC 폐암 분류 완벽 정리: 조직학적 유형부터 최신 TNM 병기까지" (0) | 2025.02.24 |
[비소세포폐암]IASLC 기준에 따른 폐 선암의 조직학적 분류 및 예후 분석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