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폐암연구협회(IASLC)의 폐암 분류
**국제폐암연구협회(IASLC,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는 폐암 연구 및 진료의 발전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관이며, 세계보건기구(WHO) 및 미국암연합위원회(AJCC), 국제암연맹(UICC) 등과 협력하여 폐암의 병리학적 및 임상적 분류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IASLC는 폐암의 병기(Stage)와 조직학적 분류(Classification)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최신 지침은 IASLC 8판 TNM 병기 분류(2017) 및 WHO 폐암 조직학적 분류(2021) 등에 반영되었습니다.
---
1.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 (Histological Classification)
폐암은 크게 **비소세포폐암(NSCLC, Non-Small Cell Lung Cancer)**과 **소세포폐암(SCLC, Small Cell Lung Cancer)**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비소세포폐암 (NSCLC, 80~85%)
1. 선암 (Adenocarcinoma, 약 40~50%)
가장 흔한 형태의 폐암으로, 비흡연자 및 여성에서도 발생 가능
원위 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s)에서 발생하여 종종 폐 주변부(peripheral lung)에 위치
EGFR, ALK, ROS1, KRAS 등의 돌연변이와 관련 있음 → 표적치료 가능
2. 편평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 약 20~30%)
흡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주로 기관지의 중심부(central bronchus)에서 발생
종양이 기관지 내부로 자라면서 폐렴이나 폐쇄성 무기폐를 유발할 수 있음
면역항암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 치료 반응이 비교적 좋은 편
3. 대세포암 (Large Cell Carcinoma, 약 5~10%)
조직학적으로 명확한 선암이나 편평세포암의 특징이 없는 경우
주로 폐의 주변부에서 발생하며, 빠른 성장 속도를 보임
신경내분비 분화(neuroendocrine differentiation)가 있는 경우 예후가 나쁨
---
(2) 소세포폐암 (SCLC, 10~15%)
매우 공격적인 형태로, 폐 중심부(central lung)에서 발생하며 림프절 및 원격 전이가 빠름
흡연과 강한 연관성을 가짐
초기에는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반응이 좋지만, 재발이 흔함
최근 면역항암제(ICI)와 병용한 치료가 도입됨
---
2. IASLC TNM 병기 분류 (IASLC TNM Staging System)
IASLC는 폐암 병기를 TNM 시스템에 따라 분류합니다.
(TNM: Tumor 크기, Nodal involvement 림프절 전이 여부, Metastasis 원격 전이 여부)
(1) T (Tumor, 원발 종양의 크기 및 침윤 정도)
T1: 3cm 이하, 기관지경 침범 없음
T2: 3~5cm 또는 주요 기관지 침범, 흉막 침범, 무기폐 동반 가능
T3: 5~7cm 또는 흉벽, 횡격막, 심낭 침범
T4: 7cm 이상 또는 다른 폐엽 침범, 심장, 대혈관, 척추 등 침범
(2) N (Nodal involvement, 림프절 전이 여부)
N0: 림프절 전이 없음
N1: 같은 쪽 폐문(hilar) 림프절 전이
N2: 종격동(mediastinal) 림프절 전이
N3: 반대쪽 종격동 또는 쇄골상 림프절 전이
(3) M (Metastasis, 원격 전이 여부)
M0: 원격 전이 없음
M1a: 반대쪽 폐 전이 또는 흉막삼출 동반
M1b: 단일 원격 장기 전이
M1c: 다발성 원격 장기 전이
---
3. 최신 폐암 병기(Stage) 분류 (IASLC 8판 기준)
TNM 분류에 따라 폐암의 병기가 결정됩니다.
(1) 비소세포폐암(NSCLC)의 병기(Stage)
(2) 소세포폐암(SCLC)의 병기
SCLC는 보통 소세포폐암 임상병기(LD/ED) 시스템으로 분류되며,
TNM 시스템을 적용할 수도 있음.
제한병기(LD, Limited Disease): 종양이 한쪽 폐 및 종격동에 국한됨
확장병기(ED, Extensive Disease): 종양이 원격 전이(M1) 동반
---
4. IASLC 폐암 병기 개정의 의미
폐암 병기는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고 치료 전략(수술, 방사선, 항암요법 등)을 선택하는 데 매우 중요
**8판 TNM 시스템(2017)**은 종양 크기 및 원격 전이 분류를 보다 세분화하여 보다 정확한 예후 평가 가능
2024년 중 IASLC 9판 TNM 병기 개정이 예상되며, 최신 연구 결과가 반영될 예정
---
결론
IASLC는 폐암 연구 및 분류의 핵심 기관으로, TNM 병기 시스템과 조직학적 분류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폐암의 진단 및 치료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최신 면역치료 및 표적치료에 따라 치료 전략이 점점 정밀해지고 있습니다.
posted by yourdoctor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소세포폐암(NSCLC) 항암치료 가이드: 병기별 치료 전략과 최신 치료 옵션 (0) | 2025.02.24 |
---|---|
항암치료 중 부종이 생겼다면? 원인과 대처법 알아보기 (0) | 2025.02.24 |
[비소세포폐암]IASLC 기준에 따른 폐 선암의 조직학적 분류 및 예후 분석 (0) | 2025.02.24 |
하인두암 치료에서 CDDP(시스플라틴)의 역할과 최신 치료 전략 (0) | 2025.02.24 |
"방사선 치료 후 식도암 환자의 극심한 통증, 원인과 효과적인 치료법"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