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에 대한 국소치료는 간암의 크기, 수, 위치, 간 기능, 환자의 전신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간암을 직접적으로 파괴하거나 혈류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국소치료의 종류로는 RFA (radiofrequency ablation), MWA (microwave ablation), PEI (percutaneous ethanol injection), TACE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RE (transarterial radioembolization), SBRT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등이 있습니다. 국소치료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RFA, MWA, PEI: 간암이 3개 이하이고, 각 결절의 크기가 3cm 이하이며, Child-Pugh A 또는 B 등급인 경우에 권고합니다. RFA와 MWA는 PEI보다 국소제어율이 높고, RFA와 MWA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습니다. RFA, MWA, PEI는 간암이 간의 중심부에 위치하거나, 간문맥 또는 간정맥에 침범한 경우에는 시행하지 않습니다.
2.
TACE: 간암이 3개 이하이고, 각 결절의 크기가 3cm 이하이거나, 결절의 개수와 크기가 상관없이 간암의 총 부피가 간의 50% 이하이며, Child-Pugh A 또는 B 등급인 경우에 권고합니다. TACE는 간암이 간문맥 또는 간정맥에 침범하거나, 간외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시행하지 않습니다.
3.
TARE: 간암이 3개 이하이고, 각 결절의 크기가 3cm 이하이거나, 결절의 개수와 크기가 상관없이 간암의 총 부피가 간의 50% 이하이며, Child-Pugh A 또는 B 등급인 경우에 권고합니다. TARE는 TACE와 비교하여 국소제어율이나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이상반응률이 낮습니다. TARE는 간암이 간문맥 또는 간정맥에 침범하거나, 간외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시행하지 않습니다.
4.
SBRT: 간암이 3개 이하이고, 각 결절의 크기가 6cm 이하이며, Child-Pugh A 또는 B 등급인 경우에 권고합니다. SBRT는 RFA와 비교하여 국소제어율이나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이상반응률이 높습니다. SBRT는 간암이 간문맥 또는 간정맥에 침범하거나, 간외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시행하지 않습니다.
posted by yourdoctor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암]표적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_2022년 대한간암학회 최신가이드라인 (0) | 2023.11.13 |
---|---|
[간암]수술적 치료_적응증 (0) | 2023.11.13 |
[간암]조직학적 분류 (0) | 2023.11.13 |
[불응성 갑상선암]면역관문억제제_표적항암제_2023년 NCCN_최신지견 업데이트 (0) | 2023.11.11 |
[갑상선암]재발 위험도에 따른 분류체계_미국 갑상선 학회_가이드라인 (0)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