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유방암 치료의 핵심: 꼭 알아야 할 생물학적 표지자 7가지"

100yr 2025. 2. 2. 19:40

2023년 한국 유방암 진료 권고안에 따르면 유방암에서 확인해야 할
필수적인 생물학적 표지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호르몬 수용체 (Hormone Receptors)
에스트로겐 수용체 (ER): 면역조직화학염색(IHC)을 통해 평가하며, ER 양성 여부는 유방암 치료 및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PR): PR 상태도 유사하게 치료 방향을 설정하고 예후를 예측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HER2
HER2 단백질의 과발현 여부는 유방암 표적 치료(예: trastuzumab) 결정에 중요한 생물학적 표지자입니다.
HER2 상태는 면역조직화학염색(IHC) 또는 형광 제자리부합(FISH) 검사를 통해 확인합니다.
ASCO/CAP 가이드라인에 따라 HER2-equivocal 상태에 대한 명확한 판독 기준이 제시됩니다.

3. Ki-67
세포 증식 지표로서 종양의 증식 속도를 평가합니다.
Ki-67은 유방암의 치료 전략(특히 보조항암요법 적용 여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gBRCA1/2 변이 상태
유전성 유방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BRCA1/2 유전자 변이를 확인합니다.
특히 삼중음성 유방암(TNBC) 또는 고위험군 환자에서 시행이 권장됩니다.

5. PD-L1 (삼중음성 유방암의 경우)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서 면역항암제(예: pembrolizumab) 치료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D-L1 발현 여부를 확인합니다.

6. 멀티유전자 패널 검사​​
치료 및 예후 예측에 활용되는 Oncotype DX®, MammaPrint® 같은 멀티유전자 패널 검사를 통해 재발 위험과 치료 옵션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7.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및 Mismatch Repair (MMR)
암종 무관 치료 및 면역항암제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권고 사항 요약

모든 유방암 환자에서는 ER, PR, HER2 상태가 기본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환자의 병리적 특성과 임상 상황에 따라 Ki-67, BRCA 상태, PD-L1 등이 평가됩니다.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