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음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주요 항암치료 지침
1. 치료 목표와 전제
삼중음성 유방암은 호르몬수용체와 HER2 수용체 발현이 없는 아형으로 예후가 나쁜 고위험군 유방암으로 간주됩니다.
치료 목표는 병리학적 완전관해(pCR)와 생존율(Event-Free Survival, EFS)의 향상입니다.
2. 1차 항암치료에 포함되는 약제
Carboplatin:
Paclitaxel과 병합했을 때 병리학적 완전관해율(pCR)을 단독 Paclitaxel보다 크게 향상시켰음.
최근 BrighTNess 3상 연구에서는 Paclitaxel에 Carboplatin을 병합할 경우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이 **58% 대 31%**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음. 또한, EFS에서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음.
Anti-PD-1/PD-L1 면역관문억제제:
Pembrolizumab (KEYNOTE-522 연구):
Paclitaxel-Carboplatin과 병합 시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을 크게 높였으며, 3년 EFS도 향상됨(84.5% vs. 76.8%).
면역 관련 부작용으로 갑상선기능저하증 및 심각한 피부반응이 보고되어 모니터링이 중요함.
Atezolizumab (IMpassion031 연구):
Nab-paclitaxel 기반 선행 항암치료에 병합하여 병리학적 완전관해율 상승을 보임.
![](https://blog.kakaocdn.net/dn/naZmA/btsL2Qx28vj/TxtsoWbdHCfY0NYAO9Teq1/img.jpg)
3. 치료 전략
병합요법 추천: Paclitaxel과 Carboplatin의 병합을 기본으로 하며, 면역관문억제제(Pembrolizumab 또는 Atezolizumab)를 추가할 수 있음.
장기 생존 개선: 면역관문억제제 병합 요법이 장기 생존율(OS)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임.
4. 특수 상황
BRCA 돌연변이 보유 환자: Carboplatin은 BRCA 변이를 가진 환자에서도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을 개선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
면역 관련 부작용: Pembrolizumab 사용 시 면역 부작용에 대한 철저한 관리 필요.
![](https://blog.kakaocdn.net/dn/bLb5iX/btsL4WpXLCB/oN5QZRze1jWRLbh2r4nzA1/img.jpg)
5. 기타
모든 환자에서 치료 반응 평가를 위한 병리학적 완전관해율(pCR) 모니터링은 필수입니다.
치료 반응에 따라 약제를 조정하거나 새로운 국소 치료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치료 방향성을 안내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상세한 치료 계획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치료의 핵심: 꼭 알아야 할 생물학적 표지자 7가지" (0) | 2025.02.02 |
---|---|
"PET-CT로 전신 암 전이 여부 확인: 주요 내용과 한계점" (0) | 2025.02.02 |
"난소암 치료 과정, 단계별로 알아보기: 선항암, 수술, 후항암 치료 가이드" (0) | 2025.02.02 |
호르몬 수용체 양성 조기 유방암 환자라면 꼭 알아야 할 NGS 검사: 맞춤형 치료의 열쇠 (0) | 2025.02.02 |
[호르몬양성유방암]"ER+/PR-/PR+ 유방암 치료 전략: 서로 다른점"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