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간세포암) 환자에게 간 이식이 치료방법으로 적합한지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조건들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QRO7/btsG0bAbW5i/bzsPczudGdkT8KFF3VYkZK/img.png)
1.
암의 진행 정도: 간 이식은 일반적으로 초기 단계의 간암 환자에게 권장됩니다. 특히, 밀라노 기준(Milano criteria)에 따라, 최대 5cm 크기의 단일 종양이나 3cm 이하 크기의 3개 이하 종양을 가진 환자들이 이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간 기능: 환자의 간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있고, 이식 없이는 생존이 어려운 경우에 간 이식이 고려됩니다. 만성 간질환 또는 간경변이 있는 경우, 간 이식은 더욱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건강 상태: 환자는 간 이식 수술과 회복 과정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양호해야 합니다. 심각한 심혈관 질환, 감염, 다른 암과 같은 추가적인 건강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4.
이식 대기 목록과 이용 가능한 기증자: 간 이식은 적절한 기증자 간을 구할 수 있는지에 따라 가능성이 결정됩니다. 때로는 살아있는 기증자로부터 부분 간을 이식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5.
종양의 재발 가능성: 이식 후 종양의 재발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환자는 이식 전후로 종합적인 치료(예: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각 환자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의료 팀은 환자의 진단, 전반적인 건강 상태, 기타 중요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후 간 이식을 결정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
![](https://blog.kakaocdn.net/dn/d3S2RJ/btsG0dkuvJt/PD38vh6NXd9tJLedvqchEk/img.jpg)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암]경구 항암제_소라페닙(넥사바)_레고라페닙(스티바가) 적응증_임상적 사용 차이점 (0) | 2024.04.29 |
---|---|
[Q&A]간이식 적응증_ 간이식 방법_종류_기증자 요건 (0) | 2024.04.29 |
[간암]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_간이식 적응증_밀라노기준_UCSF기준 (0) | 2024.04.29 |
[간암]간암 각 병기별 일반적인 치료방침_BCLC병기분류체계 (0) | 2024.04.29 |
수목요양병원_안내_6층 암&면역치료센터_진료환경_동영상 (0)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