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클론 이나 이중클론 항체 치료제들은 각기 다른 표적을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면역계를 활성화하여 암 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면역 요법의 한 형태로 분류되며, 특정 암 유형에 대한 표적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항체 치료제는 그 작용 기전과 목표에 따라 굳이 분류하자면 면역관문억제제와 표적치료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체 치료제를 일률적으로 한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기보다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면역관문억제제 계열 치료제]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계의 '관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차단하여, 본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면역계가 암 세포를 더 잘 공격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PD-1, PD-L1, CTLA-4 같은 단백질을 표적으로 합니다. 니볼루맙(Nivolumab)과 패멜리주맙(Pembrolizumab)은 면역관문억제제의 예입니다.
[표적치료제 계열]
표적치료제는 암 세포의 특정 표면 단백질이나 성장에 필수적인 경로를 표적으로 하여 암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억제하거나 암 세포를 직접 죽입니다. 이들은 암 세포를 더 선택적으로 공격하며 정상 세포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은 표적치료제입니다.
오레고보맙(Oregovomab)은 난소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체 기반 치료제입니다. 이 약물은 특정 종양 표지자인 CA-125에 대한 단클론 항체로, 난소암 세포 표면에 과발현되는 CA-125에 결합하여 작용합니다. 오레고보맙은 면역계를 활성화하여 종양 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 치료제의 일종입니다. 이 약물은 면역계의 T세포를 활성화시켜 특정 암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결론
항체 치료제 중 일부는 면역계를 활성화하여 암과 싸우도록 돕는 면역관문억제제로 분류되며, 다른 일부는 암 세포의 특정 표적을 공격하는 표적치료제로 분류됩니다. 각 항체 치료제의 구체적인 작용 기전과 표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환자 식단]암 환자의 식단 원칙_최신지견(국립암센터 김수열 박사 논문 근거)_암세포 지방산 대사 이용 이론 (0) | 2024.02.28 |
---|---|
항체치료제 작용기전 및 분류_단일클론항체_이중클론항체 (0) | 2024.02.28 |
[난소암]오레고보맙(oregovomab)면역항암치료제_국내임상3상 현황 (0) | 2024.02.28 |
[위암]복강내_복막_전이 의심할 수 있는 증상들과 영상의학검사 방법_추가 치료 옵션들 (0) | 2024.02.28 |
[유방암]타목시펜_장기 복용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추천 건강기능성분_퀘르세틴(quercetin)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