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B12 정맥주사는 특정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으나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주사는 비타민 B12 결핍이 심각하거나 B12를 소화관을 통해 흡수하기 어려운 경우에 종종 사용됩니다. 특히 만성 위염, 위암에 의한 위 전절제술 시행 환자, 장 수술 후 환자, 채식주의자, 노인 등에서 여러 만성질환 상태에서 B12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효과신속한 결핍 교정: 정맥 주사는 체내 B12 수준을 빠르게 높여 결핍 증상을 신속하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2.
신경 손상 회복 지원: 심각한 B12 결핍이 있는 경우, 신경 손상과 관련된 증상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헤모글로빈 수준 정상화: B12는 적혈구 생성에 필수적이므로, 이를 통해 빈혈을 교정하고 헤모글로빈 수준을 정상화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itjPD/btsHgW3FIer/gqgs3ScBlizSHTptvpjdN0/img.png)
유의할 점
1.
알러지 반응: 일부 사람들은 B12 주사에 알러지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드문 경우이지만, 주사 후 몸에 발진이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2.
과다 복용 가능성: 비타민 B12는 수용성 비타민이라 대부분의 과잉 섭취가 소변을 통해 배출되지만, 매우 높은 용량을 장기간 사용하면 부작용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
기존 질환과의 상호작용: 심장 질환이나 신장 문제가 있는 경우 고용량 B12 주사는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약물과 상호작용하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사를 받기 전에 모든 건강 상태를 의료 제공자와 상의해야 합니다.
4.
의료 감독 필요: B12 주사는 전문 의료진의 지시와 감독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체내 B12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B12 주사는 특정 상황에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사용 전 충분한 의료 상담을 받고, 적절한 의료 환경에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비타민 B12, 특히 시아노코발라민 형태의 경우, 암 위험과 일관된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비타민 B12와 특정 암 사이의 잠재적 연관성을 제안하지만, 이러한 발견은 대개 일일 권장 섭취량을 훨씬 초과하는 B12의 양을 장기간 섭취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한 연구에서는 비타민 B12를 대량으로 섭취한 남성 흡연자들에서 폐암 위험이 30-4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연구, 예를 들어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에 실린 연구에서는 B12 수준과 암 위험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B12 보충이 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계를 탐구했지만, 결과는 여전히 혼합적이며 결론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약간의 논란이 있고 연구가 진행 중이기는 하지만, B12 보충이 직접적으로 암을 유발한다는 결론적인 증거는 없습니다.하지만 특히 고 용량의 B12 보충 시작하기 전에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조건에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의료 제공자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
![](https://blog.kakaocdn.net/dn/bqHpxg/btsHjYZQOga/1jPAiujTQ4yz6V3JJhwqZk/img.jpg)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B1]티아민 정맥 주사 치료_적응증_유의점 (0) | 2024.05.08 |
---|---|
[항산화_항암부작용 관리]글루타치온 정맥주사_ 고용량 비타민c 정맥주사 (0) | 2024.05.08 |
[표적항암제 부작용]올라파립(린판자) 장기사용시 유의해야 할 부작용들 (0) | 2024.05.08 |
[유방암_표적치료]키스칼리(kisqali)_치료 반응 하지 않는 경우 가능한 다른 치료 옵션_2024 NCCN guideline (0) | 2024.04.30 |
[표적항암제info]카보잔티닙(cabozantinib)_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