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면역 관문 억제제인 니볼루맙은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심각한 부작용 (SAE) 은 환자의 11.2% 에서 발생하며 폐렴이 흔한 원인입니다.
3.
CD8+ T 세포 및 CD8+ 이펙터 메모리 T 세포에서의 향상된 PD-1 발현과 같은 바이오마커는 치료 반응 및 면역 관련 부작용 (IRAE) 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특히 고령 환자에서 신장 부작용도 보고되었는데, 아테졸리주맙은 강한 연관성을 보였습니다.
5.
니볼루맙으로 인한 제1형 당뇨병의 위험이 있으므로 포도당 수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최적의 환자 치료를 위해서는 PD-1 억제제와 관련된 독특한 부작용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폐렴이 흔한 원인인 다양한 중증 부작용 (SAE) 및 치명적 부작용 (FAE) 으로 인해 니볼루맙의 부작용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Serious adverse events and fatal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nivolumab treatment in cancer patients : Nivolumab-related serious/fatal adverse events.
Bin Zhao +2 more
03 Oct 2018-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니볼루맙으로 인한 제1형 당뇨병이 치료 후 9일 이내에 발병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빈번한 포도당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합니다.
Nivolumab-induced fulminant type 1 diabetes with precipitous fall in C-peptide level.
Masaaki Miyauchi +8 more
01 May 2020-Journal of Diabetes Investigation
신장 부작용을 포함한 Nivolumab 부작용은 실제 약물 역학 데이터에서 알 수 있듯이 특히 투여 후 처음 몇 개월 이내에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Renal adverse effects following the use of different immune checkpoint inhibitor regimens: A real-world pharmacoepidemiology study of post-marketing surveillance data.
Gang Chen +5 more
27 Jul 2020-Cancer Medicine
니볼루맙의 부작용은 리파아제 또는 아밀라아제 상승을 포함한 무증상 췌장 독성에 대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임상적으로 지시되지 않는 한 정기 모니터링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mmune‐Related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1 Axis Inhibitors in Lung Cancer
Grainne M. O'Kane +5 more
01 Jan 2017-Oncologist
Nivolumab Induced Adrenal Insufficiency: Rare Side-effect of a New Anti-cancer Therapy - Immune-checkpoint Inhibitors.
Maitreyee Rai +1 more
Nivolumab 부작용 모니터링에는 부신 기능 부전과 같은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에 대한 경계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즉시 인지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Evaluation of Cardiac Adverse Events with Nivolumab Using a Japanese Real-World Database
Yuko Kanbayashi +4 more
13 Feb 2023-Clinical Drug Investigation
Nivolumab 부작용, 특히 심근염 및 심낭 삼출과 같은 심장 부작용은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잠재적 치명적인 결과로 인해 투여 후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총평]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계의 '관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차단하여, 본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면역계가 암 세포를 더 잘 공격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PD-1, PD-L1, CTLA-4 같은 단백질을 표적으로 합니다. 니볼루맙(Nivolumab: 상품명 옵디보 opdivo)은 면역관문억제제의 예입니다.
니볼루맙(Nivolumab: 상품명 옵디보 opdivo)을 투여받는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은 아래 부작용을 세심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드물지만 치명적인 부작용은 심근염, 심낭삼출이며, 부신기능 부전등도 드물지만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유의해야 합니다. 자주 일어나는 치명적인 부작용은 면역관련 폐렴으로 특히 유의해서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그 밖에 당뇨, 신장기능 관련 부작용의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며 때로 혈청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상승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무증상 췌장 독성에 대한 모니터링도 요구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암]복강경 수술 보다 개복수술이 더 필요한 경우 (0) | 2024.04.22 |
---|---|
[대장암]개복수술의 일반적인 원칙 (0) | 2024.04.22 |
[면역관문억제제]키트루다(keytruda:pembrolizumab)_유의해야할 부작용들 (0) | 2024.04.22 |
[마약성진통제info]몰핀과 펜타닐 약물 전환(opioid conversion)용량의 이해 (0) | 2024.04.22 |
[마약성진통제info]앱스트랄 설하정_용량에 따른 종류 (0)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