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ocrine therapy use and cardiovascular risk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survivors
Anthony Matthews +7 more
01 Aug 2021-Heart
[총평_요약]
1.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타목시펜 및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AI, aromatase inhibitor, 아리미덱스정등..) 와 관련된 심혈관 위험을 조사하여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사용자에서 타목시펜 사용자에 비해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는 아로마타아제 억제제의 직접적인 심장 독성 효과보다는 타목시펜의 심장 보호 효과에 의해 주도될 수 있습니다.
2.
타목시펜 사용자는 내분비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관상동맥 질환 위험이 낮았으며, 이는 타목시펜의 심장 보호 효과를 시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lgSJ/btsGlevIDfv/VWDyOD4PwQtl9FUoBBRa0k/img.jpg)
[아로마타아제 억제제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심혈관 위험 예방 방안]
1.
장기간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심혈관 모니터링 및 위험 평가를 실시해야 합니다.
2.
건강한 체중 유지, 규칙적인 신체 활동, 심장 건강에 좋은 식습관과 같은 생활 습관을 바꾸면 심혈관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기타 심혈관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것은 전체 심혈관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4.
환자의 심혈관 위험 프로파일을 고려하고 필요한 경우 대체 내분비 요법을 고려하여 개별 치료 계획을 개발해야 합니다.
5.
아로마타아제 억제제를 투여받는 환자의 심혈관 위험을 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종양 전문의와 심장병 전문의 간의 긴밀한 협력이 권장됩니다.
6.
아로마타아제 억제제와 관련된 심혈관 위험의 근간을 이루는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하고 예방을 위한 표적 중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참고: 제공된 논문 출처에는 아로마타아제 억제제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심혈관 위험에 대한 예방 조치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그러나 유방암 생존자와 내분비 치료를 받는 환자의 심혈관 위험 관리에 대한 일반 권장 사항을 적용하면 아로마타아제 억제제와 관련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
![](https://blog.kakaocdn.net/dn/bEswfy/btsF3Gl0l0Q/agblZ53fke6deoX3gBYGa0/img.jpg)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적항암제]베바시주맙(아바스틴)_세툭시맙(얼비툭스)피부 부작용_대처방안_논문 (0) | 2024.03.24 |
---|---|
[난소암]베바시주맙(아바스틴)_여드름 양상 피부 부작용_치료방법_최신논문 (0) | 2024.03.24 |
[유방암]항 호르몬 유방암치료 부작용_인지기능장애 관련_2022년_Cancer_review article (0) | 2024.03.24 |
[유방암]항 호르몬 유방암 주요 부작용_최신 논문 리뷰_2021_Lancet Oncology (0) | 2024.03.24 |
[대장암]대장암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표적항암제 및 면역관문억제제 (0) | 202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