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info

정상삼킴의 과정(process of normal swallow)

100yr 2023. 2. 3. 18:09

정상적인 삼킴단계를 분류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구강기(oral stage)/인두기(pharyngeal stage)/식도기(esophageal stage)로 나누어 보는 것입니다. 여기서 구강기(oral stage)는 구강준비기(oral preparatory stage)와 구강운반기(oral propulsive stage)로 다시 나누어 집니다.

정리해보면

1.구강준비기(oral preparatory stage)

2.구강운반기(oral propulsive stage)

3.인두기(pharyngeal stage)

4.식도기(esophageal stage)

여기서 각 단계에 따른 주요 움직임과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구강준비기

음식이 입에 들어오면 입술을 견고하게 다물게 됨으로써 구강 밖으로 음식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됩니다.

혀를 움직여서 응집력있는 액체덩어리를 유지하거나 결합된 음식덩이를 삼킬 준비를 합니다.

고형음식의 경우에 씹기위해서 치아 사이에 넣고 침이 섞인 음식을 합쳐 씹게됩니다.

구강 뒤쪽에서 혀와 물렁입천장이 밀착되어 삼키기 전에 음료나 음식이 구강인두(oropharynx)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2.구강운반기

혀가 점차 뒤위쪽 방향으로 올라가며 구강 앞쪽에서 뒤쪽으로 음식이 이동되고, 혀의 역동적인 움직임에 따라서 음식이 아래턱과 혀의 기저부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삼킴의 과정중 구강기(oral stage)가 끝나고 인두기(pharyngeal stage)로 넘어가게 됩니다.

3.인두기

인두기의 삼킴단계는 매우 역동적입니다. 짧은 시간동안 음식이 안전하게 인두와 식도를 통과하게 하며, 동시에 식도 앞에 위치한 기도로 음식이 들어가지 않도록 인두로 부터 후두(larynx)와 기관(trachea)을 보호하는 일련의 과정이 일어나게 됩니다. 인두기에 이러한 역동적인 단계에서 여러 구조물의 해부학적 움직임을 살펴보면,1) 혀의 상승과 후방으로의 움직임, 2)물렁입천장의 상승, 3)목뿔뼈의 전방상승, 4)후두의 전방상승, 5)후두덮개의 후방기울임, 6)성대모음등이 진행됨을 알수 있습니다.

4.식도기

식도기에 음식은 상부식도조임근(upper esophageal sphinter)을 통과하여 식도를 진입한 뒤에 연동작용에 의해서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여 음식덩이를 하부식도조임근(lower esophageal sphincter)을 통과하여 위(stomach) 안으로 운반하는 과정입니다.

written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