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전절제술은 위암이나 위궤양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위의 일부나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1.
위.전절제술 후 발생하는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철분 결핍입니다. 철분은 헤모글로빈의 주요 성분으로, 적혈구의 산소 운반 능력에 영향을 줍니다. 위.전절제술을 받으면 음식의 통과 경로가 바뀌어 철분이 흡수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철분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철분 결핍성 빈혈은 대개 수술 후 1년 이내에 나타납니다.
2.
위.전절제술 후 발생하는 빈혈의 다른 종류는 거대적아구성 빈혈로 비타민 B12 결핍이 원인입니다. 비타민 B12는 적혈구의 정상적인 분열과 성숙에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위.전절제술을 받으면 위의 상단 부위가 제거되어 비타민 B12를 흡수하는 데 필요한 내인성 인자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비타민 B12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은 대개 수술 후 3~5년 이후에 나타납니다.
비타민 B12 부족으로 인한 거대적아구성 빈혈은 혈액 속의 적혈구나 헤모글로빈이 비정상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비타민 B12는 주로 동물성 음식에 풍부하므로 채식주의자나 위.전절제술을 받은 사람, 내인 인자 부족이나 소장 절제술 등으로 흡수가 장애된 사람들이 결핍될 위험이 있습니다
비타민 B12 부족으로 인한 빈혈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로, 쇠약, 창백, 심계항진, 호흡곤란, 현기증 등의 빈혈 증상
-손발의 저림, 감각 상실, 근육 쇠약, 반사감 상실, 보행 곤란, 착란 등의 신경 증상
-혼란, 과민, 우울, 치매 등의 정신 증상
비타민 B12 부족으로 인한 빈혈의 진단은 혈액 검사를 통해 비타민 B12 수치와 적혈구의 크기를 측정하거나, 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점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B12 부족으로 인한 빈혈의 치료는 비타민 B12 보충제를 복용하거나, 근육 주사를 맞는 방법이 있습니다. 빈혈의 원인이 내인 인자 부족이라면 정기적으로 근육 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비타민 B12 결핍이 심하거나 오래된 경우에는 신경 손상이 돌이킬 수 없게 되므로, 증상이 있으면 자세한 검사와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위.전절제술 후 빈혈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받아 빈혈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합니다.
철분과 비타민 B12가 풍부한 음식이나 보충제를 섭취합니다. 철분은 산성 환경에서 잘 흡수되므로 비타민 C와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비타민 B12는 음식이나 보충제로 섭취해도 흡수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근육 주사를 맞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분과 식이섬유를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하고 장 건강을 유지합니다. 변비는 위.전절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흡연과 음주를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휴식을 취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7층 암&면역치료센터 _부천역 도보5분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환자]편도결석 예방_가글법 (0) | 2023.12.23 |
---|---|
[타목시펜]유방암 항암 호르몬 치료_관절통증 부작용_대처방법 (0) | 2023.12.21 |
[암환자]림프부종 단계별 간략한 치료_대응_방법 (0) | 2023.12.21 |
[티로신키나제 억제제]렌비마(렌바티닙)주요부작용_대처방안 (0) | 2023.12.15 |
[갑상선암_폐전이]표적항암제_국내 의료보험 적용기준_복용방법_복용해야 하는 총 기간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