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면역관문억제제 효과 예측지표] TPS(tumor proportion score)와 CPS(combined positive score) 암 종류

100yr 2023. 12. 6. 22:02

TPS와 CPS는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수 체계입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세포와 암세포 사이의 단백질 상호작용을 차단하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돕는 약물입니다. TPS는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PD-L1 단백질의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CPS는 PD-L1이 양성인 암세포와 면역세포의 수를 암세포 전체 수로 나눈 값으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TPS와 CPS의 암 종류별 적응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PS는 PD-1 억제제의 효과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PD-1 억제제는 면역세포의 PD-1 단백질과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의 결합을 방해하여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약물입니다. TPS는 PD-L1이 양성인 암세포의 수를 암세포 전체 수로 나눈 값으로 표현되므로, PD-L1의 발현 수준과 분포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TPS가 높을수록 PD-1 억제제의 반응률이 높습니다. TPS는 주로 폐암, 신장암, 흑색종, 두경부암, 위암, 방광암 등에서 PD-1 억제제의 적응을 판단하는데 사용됩니다.



2.

CPS는 PD-L1 억제제의 효과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PD-L1 억제제는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직접 차단하여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약물입니다. CPS는 PD-L1이 양성인 암세포와 면역세포의 수를 암세포 전체 수로 나눈 값으로 표현되므로, PD-L1이 양성인 면역세포의 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PD-L1은 암세포뿐만 아니라 면역세포에서도 발현될 수 있으며, 이는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PS가 높을수록 PD-L1 억제제의 반응률이 높습니다. CPS는 주로 위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비장세포암, 간세포암 등에서 PD-L1 억제제의 적응을 판단하는데 사용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_암 &면역치료센터 _부천역 도보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