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유방암]병리조직학적 분류_성장속도_예후예측

100yr 2024. 4. 16. 02:40

유방암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암의 세포 유형, 성장 패턴, 그리고 기타 특성에 기반합니다. 이 분류는 유방암 진단, 치료 계획 수립, 예후 평가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정의된 유방암의 주요 병리조직학적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
-세관상피내암(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 암세포가 유방의 우유를 운반하는 세관 내부에 국한되어 있으며 주변 조직으로 퍼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엽상피내암(Lobular Carcinoma in Situ, LCIS)
: 유방의 우유를 생성하는 엽에서 시작되는 암세포가 주변 조직으로 퍼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2.
침윤성 선암(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유방암 중 가장 흔한 유형으로, 암세포가 유방의 세관에서 시작하여 주변 유방 조직으로 침투합니다.

3.
침윤성 엽상암(Invasive Lobular Carcinoma, ILC)
암세포가 유방의 엽에서 시작하여 주변 조직으로 침투하는 경우입니다. IDC에 비해 드물지만, 유방암 중 두 번째로 흔한 형태입니다.

4.
유두상암(Papillary Carcinoma)
유두상 구조를 가진 암으로, 주로 노년층에서 발견됩니다.

5.
점액성암(Mucinous Carcinoma)
암세포 주위에 점액이 많이 생기는 특징이 있으며, 비교적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6.
관강내암(Tubular Carcinoma)
세관 모양의 암세포가 특징인 침윤성 암으로, 비교적 예후가 좋습니다.

7.
종양유사병변
유방에 발생할 수 있는 비암성 조직 변화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섬유선종(Fibroadenoma)은 흔한 종양유사병변으로, 대부분 양성입니다.


유방암의 이러한 분류는 치료 방법의 선택과 환자 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침윤성 암은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상피내암은 상대적으로 덜 침습적인 치료로 관리될 수 있습니다. 병리학적 진단에는 일반적으로 조직 생검을 통해 얻은 샘플의 현미경 검사가 포함됩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