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담관암]담관암(bile duct cancer)에 적용가능한 표적항암제와 면역관문억제제

100yr 2024. 2. 22. 21:52

담관암에 대한 임상시험 진행중인 표적항암제와 면역관문억제제는.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표적항암제는 암세포의 특정한 단백질이나 유전자에 작용하여 암의 성장과 확산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담관암에서는 FGFR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라는 단백질이 과잉 발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항암제가 최근에 개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마티닙 (pemigatinib)은 FGFR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담관암 환자에게 효과적인 표적항암제로 승인되었습니다. 또한, 에르다피티닙 (erdafitinib)과 인피보티닙 (infigratinib)은 FGFR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담관암 환자에게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표적항암제입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약물입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PD-1, PD-L1, CTLA-4 등의 면역 관문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 면역세포와 암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차단하거나 억제합니다. 담관암에서는 PD-L1이라는 면역 관문 단백질이 과잉 발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가 최근에 개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티쎈트릭 (atezolizumab)은 PD-L1을 표적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로, 담관암 환자에게 표준 항암화학요법과 병용하여 투여하면 생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키트루다 (pembrolizumab)와 옵디보 (nivolumab)은 PD-1을 표적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로, 담관암 환자에게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면역관문억제제입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