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불가능한 비소세포성폐암 3, 4기 항암치료지침_2022년 NCCN 가이드라인 변경사항
1.
3A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면역항암제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것이 표준 치료로 권장됩니다. 면역항암제로는 PD-1 억제제인 펨브롤리주맙이나 티센트릭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PD-L1 발현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펨브롤리주맙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
4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는 유전자 변이 검사를 통해 표적항암제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GFR, ALK, ROS1, BRAF, NTRK 등의 유전자 변이가 있는 경우, 이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항암제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표적항암제로는 타그리소, 잴코리, 로즐리트렉, 라핀나+매큐셀, 비트락비 등이 있습니다.
3.
4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유전자 변이가 없는 경우에는 면역항암제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것이 표준 치료로 권장됩니다. 면역항암제로는 PD-1 억제제인 펨브롤리주맙이나 티센트릭, PD-L1 억제제인 임핀지, CTLA-4 억제제인 이피리무맙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면역항암제의 사용은 PD-L1 발현 유무, 암의 조직학적 유형, 항암화학요법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posted by yourdoctor
수목요양병원 암 &면역치료센터 부천역 도보5분
'암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적항암제]지오트립(아파티닙)피부 부작용_대처방안_렉라자 유한양행 (0) | 2024.01.11 |
---|---|
[비소세포성폐암] 방사선 치료 적응 가능한 경우_2022년 NCCN 가이드라인 주요사항 (0) | 2024.01.11 |
[유방암]방사선 치료 적응증 최신 정보_2022년 NCCN GUIDELINE (0) | 2024.01.11 |
[유방암]방사선 치료 적응증 및 치료방법 (0) | 2024.01.11 |
근접 방사선 치료 종류 (0) | 2024.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