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뇌종양]oligodendroglioma(희소돌기아세포종)

100yr 2025. 6. 26. 11:09

 

Oligodendroglioma는 뇌와 척수의 세포인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에서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희소돌기아교세포는 미엘린이라는 물질로 축삭을 감싸서 신경전달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Oligodendroglioma는 한글로 희소돌기아교세포종(稀少突起阿膠細胞腫)이라고 부르며, 희돌기 교종이나 핍돌기 교종이라고도 합니다.

주로 성인에게 발생하며, 발작, 두통, 편마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Oligodendroglioma의 치료는 수술적 치료,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의 통합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치료반응과 예후가 달라지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예를 들어, 염색체 1p와 19q에 동시에 결손이 있는 경우 항암 화학요법에 놀랄 만큼 뛰어난 치료반응을 보이며, 평균 생존기간이 10년 이상이 됩니다.

비교적 최신 항암치료로는 테모달이라는 항암제가 악성 뇌신경교종에 좋은 치료성적을 보이고 있으며, 글리벡이나 이레사와 같은 약제들도 연구중에 있습니다. 항암치료의 과정은 종양의 악성도와 위치, 치료 반응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6개월 정도의 기간동안 주기적으로 항암제를 투여하거나 방사선을 조사합니다.

테모달은 머크(Merck)라는 제약회사에서 개발한 항암제로, 1999년에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테모달은 알킬화제에 속하는 약물로, DNA를 알킬화 또는 메틸화하여 DNA, RNA,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고, 종양세포의 DNA에 손상을 주어 종양이 사멸되도록 하는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테모달은 뇌종양, 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이나 림프종과 같은 혈액암에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테모달은 캡슐 형태로 경구 투여되며, 복용 후에는 식사와 함께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posted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