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info

"도스탈리맙(Dostarlimab): MSI-H/dMMR 암 치료의 혁신적인 면역항암제"

100yr 2025. 2. 24. 15:44

도스탈리맙(Dostarlimab, 상품명: Jemperli)은 항-PD-1 면역관문억제제로, 면역 시스템이 암세포를 더 효과적으로 공격하도록 도와주는 항암제입니다.

1. 기전 (작용 원리)

PD-1(Programmed Death-1)은 면역세포(특히 T세포)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암세포가 이를 이용해 면역 공격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도스탈리맙은 PD-1 수용체를 차단하여 T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2. 적응증 (허가된 사용 대상)

도스탈리맙은 주로 고빈도 미세위성 불안정성(MSI-H) 또는 MMR 결핍(dMMR) 암종 치료에 사용됩니다.

✅ 자궁내막암 (Endometrial Cancer)

이전에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진행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 중 dMMR/MSI-H 변이가 있는 경우 FDA 승인.


✅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CRC)

dMMR/MSI-H가 확인된 전이성 결장직장암(mCRC) 환자에서 사용 가능.


✅ 고형암(Solid Tumors)

dMMR/MSI-H 특징을 가진 다양한 진행성 고형암 치료에 사용.


❗ 특히, 2022년 연구에서 직장암(dMMR/MSI-H) 환자들이 도스탈리맙 단독 요법만으로 완치(Complete Response)된 사례가 보고되면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3. 투여 방식

정맥 주사(IV, Intravenous)

초기: 3주 간격으로 500mg 투여 (4회)

이후: 6주 간격으로 1000mg 투여

4. 부작용

면역관문억제제 특성상 면역 반응이 과활성화될 수 있어 자가면역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부작용

피로, 발진, 가려움증

위장 장애 (설사, 구토)

갑상선 기능 이상 (저하 또는 항진)

폐렴 (면역성 폐렴)

간염, 신염 (간, 신장 염증)


📌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면역억제제(스테로이드 등)를 병행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5. 기존 항암치료와 비교

✅ 장점

기존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고 내약성이 좋음

일부 dMMR/MSI-H 암에서 높은 반응률을 보임

면역치료제로 오랜 반응 지속 효과 기대 가능


❌ 단점

일반적인 고형암(예: MSI 안정형 암)에는 효과 없음

기존 화학요법보다 반응률이 낮을 수 있음 (특히, MSI 안정형 암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음)



6. 연구 및 최신 동향

현재 다양한 병용 요법(ex. 항암화학요법, 다른 면역항암제) 연구가 진행 중.

MSI-H/dMMR 이외의 암에서도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이 활발히 진행 중.


7. 국내 도입 현황

한국에서는 자궁내막암과 고형암(dMMR/MSI-H) 환자에게 사용 승인됨.

비급여이거나 급여 기준이 까다로워 사용이 제한적이지만, 점차 보험 적용 확대 가능성이 있음.

8. 도스탈리맙과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비교

▶ 두 약물 모두 면역관문억제제지만, 키트루다는 다양한 암종에 사용 가능하고 보험 적용 범위가 넓음.


9. 결론

도스탈리맙은 MSI-H/dMMR 암종에서 강력한 효과를 보이는 면역항암제로, 특히 재발성 자궁내막암과 직장암에서 주목받는 치료 옵션입니다. 그러나 특정한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에서만 효과가 입증되었기 때문에, 유전자 검사 후 적절한 환자에게 사용해야 합니다.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